![(자료=통계청)](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20250214091732_2136665_922_531.jpg)
재정 일자리 효과에 취업자 수가 증가로 전환됐다. 다만, 청년층(15~29세) 취업난은 심화하는 양상이다.
통계청은 14일 발표한 ‘1월 고용동향’에서 지난달 취업자가 2787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3만5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월 취업자 증가 폭 확대에 따른 기저효과에도 전월 마이너스(-5만2000명) 충격에서 벗어났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1.0%로 전년 동월과 같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8.8%로 0.1%포인트(p) 상승했다.
다만, 현 상황을 ‘반등’으로 판단하긴 이르다. 지난달 지표에는 재정 일자리 공급 재개와 설 연휴 이동(2월→1월) 효과가 반영됐다.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과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서만 취업자가 15만2000명 늘었는데, 두 산업은 대표적인 재정 일자리 분야다. 숙박·음식점업은 증가 폭이 전월 1만2000명에서 2만7000명으로 확대됐는데, 여기에는 설 연휴 기간 성수품 구매, 국내여행 증가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청년층 취업난이 심화하고 있다. 연령대별 고용률은 30~40대, 60세 이상에서 소폭 상승했으나 청년층은 44.8%로 1.5%p, 50대는 76.5%로 0.3%p 내렸다. 청년층 고용률 하락 폭은 지난해 9월부터 5개월 연속 확대됐다.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직과 임시직이 각각 22만4000명, 7만2000명 늘었으나 일용직은 11만6000명 줄며 감소세를 지속했다. 비임금근로자는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2만1000명)와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7000명), 무급가족종사자(-1만8000명)가 모두 줄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업 등에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직업별로는 판매종사자와 기능원 및 관련 기능종사자,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단순노무종사자가 줄었다.
한편, 실업률은 3.7%로 전년 동월과 같았다. 다만, 확장실업률인 고용보조지표3은 전 연령대에서 10.0%로 전년 동월보다 0.1%p 하락했으나, 청년층에선 16.4%로 0.8%p 올랐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육아에서 9만6000명 감소했으나, 쉬었음이 12만8000명 증가했다. 구직단념자는 40만4000명으로 6000명 늘며 증가로 전환됐다.
1월 지표와 관련해 기획재정부는 “정부는 민생경제 회복의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 및 취약계층 고용안정을 위한 노력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재부는 “1분기 중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공공기관 투자 등 신속 집행을 통해 건설경기를 보강하고, 청년·중장년 등 취약계층 맞춤형 고용서비스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며 “청년의 경우 3월부터 청년고용 올케어 플랫폼을 본격적으로 가동하고, 민·관 합동 대한민국 채용박람회를 개최해 청년층 취업 분위기를 조성·확산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