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잠룡 김두관, 조기 대선 ‘범야권 대연정’ 제안

입력 2025-02-14 17: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재명 겨냥 “특정 후보 추대 경선 안돼”
“민주당 공정 경선해 통합 드라마 만들자”
“조국혁신당·개혁신당 포함 대연정 해야”
“4년 중임제·책임총리제, 중대선거구 개헌”

▲김두관 전 의원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진행된 ‘넥스트코리아 포럼’ 출범식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넥스트코리아 포럼)
▲김두관 전 의원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진행된 ‘넥스트코리아 포럼’ 출범식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넥스트코리아 포럼)

야권 잠룡으로 분류되는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조기 대선 국면에서 범민주진영과 조국혁신당·개혁신당 등 야권의 대연정을 제안하고 나섰다.

김 전 의원은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진행된 ‘넥스트코리아 포럼’ 출범식에서 “내란수구세력을 심판하고 민주진영이 중심이 되는 새로운 민주정부의 탄생을 의심하지 않았는데 믿음이 흔들리고 있다”며 “민주당 지도부가 이런 불안을 해소해줘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것은 반내란민주대연정을 펼치는 것”이라며 “확실한 정권교체를 위해서는 내란동조세력을 제외한 범민주진영이 모두 힘을 모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전 의원은 대연정이 큰 틀에서 2가지 단계로 이뤄질 것을 제안했다. 1단계는 민주당 내 공정한 경선을 통한 통합, 2단계는 조국혁신당, 개혁신당 등 범야권의 연대다.

김 전 의원은 “1단계로 다양한 대선 주자들이 공정한 경선을 통해 분열이 아닌 통합의 드라마를 만들어야 한다"며 "공정한 경선 룰과 다양한 목소리를 인정하는 경선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특정 후보를 추대하는 모양의 경선은 절대 안 된다. '입틀막'은 분열과 패배로 가는 지름길"이라며 "다양한 대선주자는 당의 자산이고 경쟁력"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2단계는 조국혁신당과 개혁신당을 포함해 연대와 대연정을 추진하는 것"이라며 "나 홀로 독식하려고 하면 실패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개헌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시간이 촉박해도 내란 수구세력 심판과 개헌을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며 “대결의 정치와 불행한 대통령의 역사를 멈추려면, 제왕적 대통령 권한을 내각과 국회로 나누는 분권형 4년 중임제, 대통령 권한을 총리와 나누는 책임총리제로 개헌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승자독식 소선거구제를 중대선거구제로 바꿔 적대적 공생관계인 양당 체제를 다당체제로 바꿔야 한다”며 “개헌으로 분권과 균형 발전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지금이 구매 적기” 불붙은 전기차 가격 인하 경쟁
  • 배우리 이베이 셀러 “NBA 카드 ‘덕질’하다 매출 1위 사업자 됐죠” [미니인터뷰]
  • “내 애인은 AI” 영화 ‘HER’는 이미 현실
  • '해리슨 포드'와 함께 돌아온 마블…새로 단장한 '캡틴 아메리카' [시네마천국]
  • 삼척서 열리는 정월대보름제…영암선 고구마 먹거리 잔치 [주말N축제]
  • “美 기업 추격 가팔라진다”…트럼프 관세 전쟁에 韓 반도체 ‘벌벌’
  • "금, 없어서 못 산다"…골드바 품귀 속 '금테크' 투자법은
  • 10년 기다림에 구름 인파…강서구 쇼핑성지 된 ‘전국 최대’ 트레이더스 마곡점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2.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851,000
    • +0.81%
    • 이더리움
    • 4,085,000
    • +0.52%
    • 비트코인 캐시
    • 513,500
    • +0.88%
    • 리플
    • 4,169
    • +8.26%
    • 솔라나
    • 295,100
    • +0%
    • 에이다
    • 1,201
    • -0.08%
    • 이오스
    • 990
    • +2.48%
    • 트론
    • 351
    • +0.57%
    • 스텔라루멘
    • 533
    • +5.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850
    • -0.5%
    • 체인링크
    • 29,250
    • +3.72%
    • 샌드박스
    • 613
    • +2.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