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대통령 의사 전달 창구 부활 강조
연준에 대한 압박 커질 듯

그는 “파월 의장 및 다른 연준 인사들과 정기적으로 점심을 할 것”이라며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우리의 견해를 이야기하고 그의 의견을 경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만남은 트럼프 행정부 1기 때 시행됐던 것으로 연준의 독립성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해싯 위원장은 “파월은 독립적인 인물로 연준의 독립성은 존중받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동안 시행됐던 관행을 부활시키는 것일 뿐 정치적 간섭으로부터 연준 이사회의 독립성을 침해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요점은 대통령의 의견도 들을 수 있다는 것”이라며 “트럼프는 미국의 대통령”이라고 덧붙였다.

이달 초에는 다른 트럼프 행정부 고위급 인사와 파월 의장의 회동이 성사되기도 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최근 인터뷰에서 “6일 파월 의장과 만났다”면서 “파월 의장과 서로 잘 모르기 때문에 매우 건설적인 만남이었다”고 밝혔다.
관련 뉴스
해싯 위원장의 해명에도 연준에 대한 압박은 커질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동안 파월 의장을 자주 비판하고 기준금리 인하를 요구하면서 해임 가능성을 시사했다. 지난해에는 파월 의장이 임기를 마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신호를 보내면서도 금리 인상이나 인하 여부에 대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대통령의 권리를 옹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12일에도 “금리는 인하돼야 한다. 다가올 관세와 함께 진행될 것”이라고 말하면서 연준을 압박했다. 연준의 올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열린 지난달 29일에는 “연준은 은행 규제와 관련해 형편없었다”고 강력히 비판하기도 했다.
다만 연준은 미국 경제가 강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율이 여전히 목표치인 2%를 웃도는 상황인 만큼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파월 의장은 12일 하원 금융서비스 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물가상승률이 목표치에 근접했지만, 아직 달성하지 못했다”며 “지금은 제약적인 정책을 유지하고 싶다”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