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PwC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국내 기업 진출 유망”

입력 2025-02-18 09: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 삼일PwC)
(출처= 삼일PwC)

삼일PwC는 우리 기업들이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진출할 가능성이 높다고 18일 전망했다.

삼일PWC 경영연구원은 이날 발간한 ‘리빌딩 우크라이나(Rebuilding Ukraine): 우크라이나 재건사업과 국내 기업의 기회’ 보고서에서 이 같이 내다봤다.

삼일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중 국내 기업 참여가 예상되는 부문으로 △에너지 △운송·교통 △주택 △보건·의료를 꼽았다. 이희정 수석연구위원은 “네 부문은 시급성을 요할 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이 과거 이라크 재건 사업에 참여한 이력이 있어 진출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세계은행은 2022년 2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발생한 피해에 기반한 우크라이나 피해복구 비용을 4862억 달러(약 700조 원)로 추산한 바 있다. 전쟁이 장기화하면 비용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재건 사업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봤다. 재건 사업의 경우 대체로 정부 지원 규모가 사업을 수주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정부 지원액에서 우리나라가 미국·유럽연합(EU)보다 열위에 있다고 평가했다.

위험 요인으로는 전쟁 과정에서 큰 폭으로 확대된 우크라이나의 대규모 재정적자를 꼽았다. 재건 사업을 이행하더라도 대금 결제를 받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공공 부문이 부패 문제도 장애 요인으로 제시했다 우크라이나는 1991년 독립 이후 꾸준히 부패 문제가 제기돼 왔다.

재건 사업 성사를 위해서는 EU나 폴란드 등 재건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는 국가와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우크라이나 난민을 대거 수용한 폴란드는 난민수용 비용 포함 시 국내총생산(GDP) 대비 지원 금액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로, 수차례 우크라이나 재건 박람회를 개최하는 등 재건을 위한 적극적인 행보에 나선 바 있다.

이희정 연구위원은 “해당 국가의 주요 기업체와 공동 프로젝트 또는 컨소시엄을 통한 진출이 적합하다”며 “국내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사업 기회가 많고 정부 지원이 적극적인 일본의 상사나 건설사와 공동 프로젝트 수주 등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한정탁 삼일PwC 우크라이나 전담팀 파트너는 “‘제2의 마셜플랜’이라 불리는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글로벌 기업의 선점 경쟁도 치열해질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 유럽 신시장 개척의 기회가 될 이번 재건사업 진출을 위해 정부가 사업 관련 제반 정보, 보증 프로그램, 투자 인센티브 제공 등 제도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트코인, 금리 인하 가능성에 깜짝 상승…9만8000달러 터치 [Bit코인]
  • 안전자산에 '뭉칫돈'…요구불예금 회전율 5년 만에 최고
  • ‘항암백신’ 연구개발 성과 내는 국내 바이오 업계
  • 김동선의 한화, 8700억 자금조달 난관...아워홈 인수 차질 없나
  • 그래미상 싹쓸이한 켄드릭 라마…'외힙 원탑'의 클래식카 컬렉션 [셀럽의카]
  • 기약 없는 ‘반도체 특별법’…“골든타임 놓치면 미래 없다”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나솔사계’ 22기 옥순·경수, 2세 언급에 얼어붙은 분위기…17기 현숙·상철 근황은?
  • ○○법사ㆍ○○아씨 넘쳐나는데…요즘 '무당집', 왜 예약이 힘들까?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2.21 12:0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989,000
    • +0.44%
    • 이더리움
    • 4,043,000
    • -0.74%
    • 비트코인 캐시
    • 481,000
    • -0.76%
    • 리플
    • 3,925
    • -1.85%
    • 솔라나
    • 256,000
    • +0.27%
    • 에이다
    • 1,187
    • +1.8%
    • 이오스
    • 946
    • -1.56%
    • 트론
    • 368
    • +2.22%
    • 스텔라루멘
    • 502
    • -0.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850
    • -0.44%
    • 체인링크
    • 26,670
    • -1.4%
    • 샌드박스
    • 546
    • -0.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