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500억 원 규모 '공급망안정화기금' 핵심광물 직‧간접 투자 지원

전기차‧반도체 등 첨단산업 필수 원료로 활용되는 핵심광물의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연간 500억 원 규모의 투자가 이뤄진다. 특히 연도별 수요에 따라 지속해서 투자를 진행해 핵심광물 투자가 일회에 그치지 않고 장기 투자로 이어지도록 뒷받침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18일 공공기관 및 민간 협단체·기업과 합동으로 '핵심광물 투자 협의회' 출범 회의를 열어 국내‧외 핵심광물 투자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협의회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공급망 안정화 기본계획'과 지난달 내놓은 경제정책방향'에 따라 출범했다.
정부는 협의회를 통해 민간 중심의 유망 핵심광물 투자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공급망안정화기금 투자를 비롯한 해외자원개발조사‧융자(광해광업공단‧에너지공단), 해외투자보험(무역보험공사) 및 공급망컨설팅지원(KOTRA) 등 기존 지원제도를 포괄하는 민관협력 종합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특히, 공급망안정화기금은 올해부터 연간 500억 원 수준에서 핵심광물에 대해 민관 공동투자를 추진하고, 연도별 수요에 따라 지속·장기투자를 추진해 핵심광물 투자가 단기·일회성 투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꾸준한 장기 투자로 이어지도록 뒷받침할 예정이다.
그간 정부는 '핵심광물 확보전략'을 마련하고 정부간 협력채널 구축‧운영, 해외자원개발 조사‧융자 지원 등 민간의 핵심광물 확보를 간접적으로 지원해 왔으나, 직접투자 지원 수단이 없고 지원 사업간 연계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적지 않았다.
이에 공급망안정화기금과 이번 협의회를 통해 우리 기업의 핵심광물 확보 프로젝트에 직‧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지원사업간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민간의 자원개발사업 성과를 높일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정부가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 의장국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만큼, 핵심광물 투자 협의회와도 연계해 채굴·가공 등 다양한 해외 핵심광물 투자 사업에 참여하는 우리 기업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협의회는 해외자원산업협회와 한국광해광업공단이 공동 간사로 운영한다"라며 "분기별 1회 개최를 원칙으로 하되 필요시 수시로 열어 유망 프로젝트를 발굴‧지원하고, 정부 지원제도의 개선 방안 등도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