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첨단 과학기술 분야의 젊은 과학자들을 만나 "우리 경제가 저출산, 제조업 비교우위 축소 등 구조적 도전에 직면한 상황에서 첨단 과학기술은 다방면의 혁신을 이끌어내는 핵심동력"이라고 말했다.
최상목 권한대행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인공지능, 바이오, 양자 등 첨단과학기술 분야의 젊은 과학자들과 오찬 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말했다. 이날 간담회는 한국의 미래를 이끌어갈 젊은 과학자들이 연구 현장에서 느끼는 경험을 나누고, 이를 바탕으로 기술 패권 경쟁 시대에 과학기술의 발전방향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 대행은 "최근 고성능·저비용 인공지능(AI) 모델 출시로 큰 파장을 일으킨 딥시크 개발을 젊은 연구자가 주도한 점은 큰 의미가 있다"며 "젊은 과학자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도전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끄는 힘이 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또 "젊은 과학자들이 마음껏 연구에 몰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혁신적 아이디어가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오늘 논의된 정책 제안들은 향후 정책 수립 과정에서 적극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 뉴스
간담회에는 인공지능, 바이오, 양자 등 3대 게임체인저 기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젊은 연구자뿐만 아니라, 물리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성과를 내고 있는 기초연구 과학자도 참석했다. 또 보스턴-코리아 프로젝트 등 국제 공동연구 수행자, 출연연 글로벌 톱(TOP) 전략 연구단 참여 연구원, 기술사업화 참여 경험 보유자 등도 자리했다.
이들은 피지컬 AI(Physical AI) 등 최근 주목받는 첨단 분야의 기술 선점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 양자기술 전문인력 양성, 글로벌 공동연구 과정의 어려움 등에 대해 의견을 내놨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올해 피지컬 AI 기술을 포함한 총 1조 원 규모의 범용 인공지능(AGI) 기술개발 사업 예비타당성에 착수하고, 양자대학원을 통해 석박사급 전문인력을 양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R&D의 법률·행정적 애로 해결을 돕는 법률지원 서비스도 마련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씨앗 연구 및 초기 연구환경 구축 지원사업 등을 통해 젊은 연구자의 연구 기반을 확충하고, R&D 성과가 신산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관계부처 합동 국가 R&D 기술 사업화 전략을 조속히 수립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