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두려운 베트남, 스타링크 허용해 지렛대로

입력 2025-02-19 14: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외국인 투자 제한 풀고 스타링크 도입
관세 위협 대응 위한 ‘올리브 가지’

▲12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 도심이 보이고 있다. 하노이/로이터연합뉴스
▲12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 도심이 보이고 있다. 하노이/로이터연합뉴스

베트남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스타링크의 현지 진출을 허용하는 법 개정을 추진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에 대응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보인다.

1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베트남 정부는 19일 의회에서 2030년까지 일시적으로 위성 인터넷 서비스 기업에 대한 외국인의 완전 소유를 허용하는 내용을 담은 규정을 채택할 예정이다.

스타링크는 베트남 정부의 위성 인터넷 공급업체에 대한 외국인 소유 제한(50%)으로 현지 진출을 하지 못했다. 법이 개정되면 베트남 출시의 길이 열리는 셈이다.

기존 규정 안에서 스타링크를 공급할 경우 현지 기업과의 협력, 베트남 내 게이트웨이 설치가 필수적으로 이뤄져야 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 비용의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베트남 정부의 통제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스페이스X는 저궤도 위성으로 전 지구를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프로젝트 스타링크를 진행 중이다. 머스크는 2023년 베트남이 외국인 소유 제한을 풀지 않으면서 투자가 보류된 이후인 지난해에도 스타링크 베트남 서비스를 위한 15억 달러(약 2조 원) 투자를 제안한 바 있다.

베트남의 태세 전환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과 관련이 있다. 한 베트남 정부 관계자는 로이터에 “트럼프 행정부가 원한다면 거래 외교 게임을 할 수 있다는 표명”이라며 관세 긴장 속 스타링크 포용이 양국 간 평화를 매개하는 ‘올리브 가지’가 될 수 있다고 해석했다.

베트남은 지난해 대미 무역 흑자국으로 흑자폭이 중국과 유럽연합(EU), 멕시코에 이어 4번째로 컸다. 트럼프 대통령이 4월 1일까지 각국별 관세‧비(非)관세 장벽에 대한 실태를 보고받아 국가별 맞춤형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한 만큼 매우 불안한 국가 중 하나다.

이에 베트남 정부는 베트남 기업과 개인이 스타링크를 이용하면 대미 흑자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이런 조치에 나선 것이라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흑자 규모를 줄이기 위해 베트남은 미국산 농산물 수입 확대 등도 논의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안전자산에 '뭉칫돈'…요구불예금 회전율 5년 만에 최고
  • ‘항암백신’ 연구개발 성과 내는 국내 바이오 업계
  • 김동선의 한화, 8700억 자금조달 난관...아워홈 인수 차질 없나
  • 그래미상 싹쓸이한 켄드릭 라마…'외힙 원탑'의 클래식카 컬렉션 [셀럽의카]
  • 기약 없는 ‘반도체 특별법’…“골든타임 놓치면 미래 없다”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나솔사계’ 22기 옥순·경수, 2세 언급에 얼어붙은 분위기…17기 현숙·상철 근황은?
  • ○○법사ㆍ○○아씨 넘쳐나는데…요즘 '무당집', 왜 예약이 힘들까? [이슈크래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21 10:2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092,000
    • +0.77%
    • 이더리움
    • 4,033,000
    • -0.37%
    • 비트코인 캐시
    • 480,900
    • -0.15%
    • 리플
    • 3,928
    • -2.09%
    • 솔라나
    • 256,900
    • +2.35%
    • 에이다
    • 1,180
    • +2.52%
    • 이오스
    • 947
    • +0.11%
    • 트론
    • 367
    • +1.94%
    • 스텔라루멘
    • 503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450
    • -0.44%
    • 체인링크
    • 26,730
    • -0.37%
    • 샌드박스
    • 548
    • +0.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