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 사용자 중 남성 비율, 30% 첫 돌파

입력 2025-02-23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고용부 "부모 함께 육아휴직제 강화 효과"…출생아 회복에도 여성 사용자는 정체

(자료=고용노동부)
(자료=고용노동부)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가 전년보다 5.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육아휴직자 중 남성 비율은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고용노동부는 23일 이 같은 일·육아 지원제도 사용 현황을 발표했다.

먼저 육아휴직 사용자는 13만2535명으로 전년보다 6527명(5.2%) 늘었다. 육아휴직 사용자는 출생아 감소의 영향으로 2022년 13만1084명에서 2023년 12만6008명으로 줄었으나, 지난해 다시 증가로 전환됐다. 특히 남성이 4만1829명으로 전체 휴직자의 31.6%를 차지했다. 2015년 5.6%에 불과했던 육아휴직자 중 남성 비율은 매년 상승해 지난해 처음 30%를 넘어섰다. 지난해 출생아 수 증가에도 여성 사용자는 정체됐으나, 남성 사용자가 18.4% 급증했다.

고용부는 남성 휴직자 증가의 배경으로 ‘부모 함께 육아휴직제’ 강화를 꼽았다. 이 제도는 자녀 생후 18개월 이내에 부모 모두 6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첫 6개월간 육아휴직급여 상한액을 250만 원(1개월차)~450만 원(6개월차)으로 인상하는 제도다. 지난해 부모 함께 육아휴직제 혜택을 받은 사용자는 5만1761명으로, 전년(2만3910명)의 두 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자녀 연령별로는 여성의 80.0%, 남성의 46.5%가 자녀가 0세 때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우선지원대상기업) 소속이 7만5311명으로 전체 휴직자의 56.8%를 차지했다. 휴직자 중 비중은 1.2%포인트(p) 상승했다.

육아휴직 사용자 증가세는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전체 육아휴직자 수는 전년 동월보다 42.6%, 이 중 남성은 69.2% 증가했다.

▲2024년 일·육아 지원제도 사용 현황. (자료=고용노동부)
▲2024년 일·육아 지원제도 사용 현황. (자료=고용노동부)

아울러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자가 2만6627명으로 전년보다 3439명(14.8%) 증가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은 육아휴직에 비해 이용률이 낮으나, 증가 속도가 가파르다. 과거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은 잔여 육아휴직 기간을 활용해 사용할 수 있었으나, 2019년 육아휴직과 별개로 1년을 쓸 수 있게 제도가 개편됐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 소속 근로자가 전체 수급자의 62.8%(1만6718명)를 차지했다. 자녀 연령대별로 0~1세 사용이 38.4%로 가장 높고, 6~7세(22.5%)가 뒤를 이었다. 평균 사용시간은 일평균 2.5시간이며, 하루 평균 2시간 이하 단축자 비중이 전체 사용자의 65.8%로 나타났다.

이 밖에 지난해 출산휴가 사용자는 7만9368명으로 6.5%,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자는 1만8241명으로 15.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올해부턴 육아휴직급여가 부모 모두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월 최대 250만 원으로 인상되며, 사후지급제도도 폐지된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은 초등학교 6학년(만 12세)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확대되며, 단축급여 지급기간도 2년에서 3년으로 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준금리 '인하' 전망에 대출금리 하락 '기대감'
  • MWC 출격하는 이통3사…AI 패권 경쟁 불붙었다
  • “불황 모르는 덕후 소비”…덕분에 웃는 홍대·용산 복합몰[르포]
  • "차세대 AI PC 시장 공략"…삼성D, 인텔과 협력 '맞손'
  • 토허제 해제 이후 '강남 3구' 아파트 평균 8% 올랐다
  • 50년 뒤 성장률 0.3%ㆍ나랏빚 7000조 돌파, 연금 2057년 고갈
  • '손흥민 8·9호 도움' 토트넘, 입스위치 꺾고 리그 12위 '유지'
  • 임영웅, 2월 '트로트가수 브랜드평판' 1위…2위 박지현·3위 이찬원
  • 오늘의 상승종목

  • 02.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0,627,000
    • -1.38%
    • 이더리움
    • 4,129,000
    • +2.71%
    • 비트코인 캐시
    • 479,100
    • +1.89%
    • 리플
    • 3,760
    • -1.42%
    • 솔라나
    • 248,900
    • -2.47%
    • 에이다
    • 1,143
    • +0.53%
    • 이오스
    • 944
    • +1.72%
    • 트론
    • 356
    • +1.42%
    • 스텔라루멘
    • 485
    • -0.2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450
    • +1.19%
    • 체인링크
    • 26,120
    • +0.66%
    • 샌드박스
    • 519
    • -1.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