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장관 “상호관세, 불공정 지속하면 오른다...반응 따라 낮아질수도”

입력 2025-02-24 08: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상호관세, (협상)진행 따라 달라질 것
트럼프, 미국 국민‧공정무역 위해 뭐든 할 것“
우크라 광물협정 “서명될 것...희망적”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연설하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연설하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23일(현지시간) 상호관세와 관련해 “만약 그들(다른 나라)이 불공정 거래 관행을 계속하려고 한다면 협상하려고 할 때까지 관세는 계속 올라갈 것”이라고 밝혔다.

베센트 장관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그것(상호관세)은 진행 경과에 따라 달라진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상호관세의 본질에 대해서도 “유럽연합(EU)이나 다른 어떤 나라와 만약 일치하기 시작한다면 이는 그들이 하는 걸 우리도 하고 있을 뿐인 것이고, 여기에 다른 요소들을 추가하게 되는 것”이라며 “그들의 반응에 따라 관세는 낮아질 수있다”고 설명했다.

‘미 대통령이 최대 50%까지 관세 부과를 할 수 있도록 한 1930년 관세법을 사용할지’ 묻는 말에는 “4월 1일까지 기다린 뒤에 봐야 한다”며 말을 아꼈다.

4월 1일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시한 국가별 관세 및 비관세 장벽 등에 대한 조사가 완료되는 날이다.

베센트 장관은 “상무부와 무역대표부(USTR)가 4월 1일 (상호 관세 관련) 보고서를 제출할 것”이라며 “관세, 비관세 장벽, 환율 조작, 중국과 같은 자국 기업 자금 지원, EU 같은 미국 빅테크 관련 소송 등을 살펴본다”고 전했다.

그는 “대통령보다 앞서 나갈 생각이 없다”면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누구보다도 레버리지를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 국민을 위한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이든 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베센트 장관은 우크라이나와의 광물 협정 협상에 대해서도 “협정은 서명될 것”이라며 “희망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 기업들이 (우크라이나) 현지에 자산이 많을수록, 미국이 우크라이나 경제의 미래 안녕에 두는 이해관계가 클수록 우크라이나 국민을 위한 안보가 강화된다”며 “이는 경제 안보 보장”이라고 부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업들이 골프 마케팅하는 이유 [골프더보기]
  • 고물가에 싼 것만 찾는다…유통가 ‘초저가’ 전성시대[韓 과소소비사회 진입하나]
  • “불황 모르는 덕후 소비”…덕분에 웃는 홍대·용산 복합몰[르포]
  • [우크라 전쟁 발발 3년] 종전협상 ‘중대 분수령’...우크라 운명 어디로
  • 현대차 관세 위기에 떠오르는 ‘GM 동맹’…새로운 돌파구 될까
  • 미루는 취업·결혼·출산…미뤄진 경제 성장[청년, 모라토리엄을 외치다]
  • 김병환, 은행권에 또 경고 "대출금리 인하 반영해야"
  • 국가기술자격증 관심 있는 청년이 ‘응시료 반값 할인’ 받는 방법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9,219,000
    • -1.92%
    • 이더리움
    • 3,962,000
    • -4.28%
    • 비트코인 캐시
    • 461,400
    • -5.14%
    • 리플
    • 3,622
    • -4.53%
    • 솔라나
    • 234,200
    • -7.58%
    • 에이다
    • 1,083
    • -5.58%
    • 이오스
    • 906
    • -6.11%
    • 트론
    • 358
    • +0.28%
    • 스텔라루멘
    • 468
    • -5.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250
    • -4.57%
    • 체인링크
    • 24,540
    • -7.36%
    • 샌드박스
    • 490
    • -6.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