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24일 더불어민주당과의 연금개혁에 대해 "소득대체율 43∼44%를 두고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 당은 가능하면 이른 시간 내 합의를 도출해 연금개혁을 처리하면 좋겠다는 입장"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정책위의장은 "정부도 구태여 정부안(42%)을 고집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라며 "조만간 (여·야·정) 실무협의를 다시 개최해 합의안을 도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자동조정장치 도입에 대해서는 "다행히 민주당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가 있는 만큼, 어떻게 도입하고 소득대체율을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해 융통성 있게 같이 합의하겠다"라고 했다.
관련 뉴스
그러면서 "정부 입장도 자동조정장치가 도입된다면 소득대체율을 유연하게 협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며 "민주당은 자동조정장치에 대한 당내 의견, 우리는 44%에 대한 당내 의견을 수렴하고 다시 여야 간에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정책위의장은 "국민의힘은 연금개혁안이 원활하게 합의 처리된 뒤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논의를 하겠다는 입장"이라며 "정부와 여당의 기대범위를 넘어서는 (연금개혁)안에 대한 일방적인 처리는 (민주당이) 신중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다음 실무협의 일정에 대한 질문에는 "주 중에 한 번 더 만날 수 있으면 만나서 협의를 마무리하는 게 좋을 것 같다"면서도 "민주당과 좀 더 논의를 해봐야 한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