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케이테크인 카카오 AI B2B 시장 주력…AI 네이티브 컴퍼니 전환에 속도
카카오 공동체가 ‘인공지능(AI) 에이전트’에 빠졌다. 카카오뿐만 아니라 계열사까지 자사 서비스에 AI 에이전트를 접목해 ‘인공지능(AI) 네이티브 컴퍼니’로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의 IT 자회사 디케이테크인이 기업용 협업 솔루션 ‘카카오워크 2.0’에 AI 에이전트를 도입해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워크는 메신저, 메일, 화상회의, 설문, 워크보드, 전자결재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솔루션으로 구글 캘린더와 드라이브 등 외부 서비스와의 연동을 지원해 기업 내 원활한 협업 환경을 조성한다.
올해 상반기 출시 예정인 카카오워크 2.0 버전에서는 ‘워키(가칭)’라고 불리는 AI 에이전트가 추가돼 더욱 스마트한 업무 지원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워키는 일반적인 챗봇과는 다르게 이용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디케이테크인 관계자는 “카카오워크 2.0의 핵심 포인트는 기존 업무 협업 툴에 AI에이전트 기술을 입히는 게 특징으로 AI를 활용해 단순한 정보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와 달리 그룹웨어 서비스를 AI 비서화해 실질적인 업무 보조 역할을 수행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워키가 AI가 회의실을 자동으로 예약하거나 메시지를 요약해주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이용자들을 도울 것으로 관측된다.
카카오가 오픈AI와 협력해 AI 에이전트 기술을 고도화하는 가운데 향후에는 오픈AI의 기술이 카카오워크에도 접목돼 업무 자동화와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카카오가 AI 기반 기업소비자간거래(B2C) 시장에 주력하며 AI 대중화에 나서는 한편, 디케이테크인은 기업간거래(B2B) 시장을 담당하며 카카오의 AI 비즈니스 확장을 이끌겠다는 전략이다.
카카오 그룹사의 전산·시스템 통합(SI) 업무를 담당해온 디케이테크인은 지난해 1월 카카오워크와 카카오i 등을 운영해온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자회사 KEP를 흡수합병하며 대외 사업을 본격 확대했다.
그룹웨어솔루션 분야에서 강점을 갖춘 디케이테크인이 AI 에이전트를 접목한 카카오워크 2.0을 통해 협업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