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마지막까지 파렴치한 거짓말과 억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최종 변론에 대한 여야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렸다. 국민의힘은 “진솔한 대국민 사과와 비상계엄에 이르게 된 고뇌가 드러났다”며 높은 평가를 내렸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끝까지 내란을 뉘우치지도, 포기하지도 않았음이 확인됐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25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심판 최후진술을 방청한 뒤 기자들과 만나 “비상계엄의 불가피성 필요성에 대해 국민들께 설득력 있는 내용이었다”고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진솔한 대국민 사과와 비상계엄에 이르게 된 본인의 고뇌가 진솔하게 나타났다”며 “앞으로 국가와 국민을 위해 개헌과 정치개혁을 하겠다는 말씀과 임기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내용이 기억에 남았다”고 전했다.
신동욱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구두 논평을 통해 "대통령은 국민 여러분께 죄송하고 감사하다는 말씀과 함께 국가 위기 상황에서 대통령으로서 고뇌에 찬 결단을 할 수 밖에 없었던 배경을 다시 한 번 국민 앞에 진솔하게 변론했다"고 평했다.
관련 뉴스
이어 "무엇보다 대통령이 개헌과 정치개혁을 마지막 사명으로 생각하고 잔여 임기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한 부분도 높이 평가한다"고 덧붙였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윤 대통령의 최종 의견 진술 직후 페이스북에 “개인이 아닌 대통령으로서 바라본 나라는 절체절명의 위기였고, 그 위기를 국민께 알리고 극복하기 위해 본인의 기득권을 포기하면서까지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던 대통령의 고뇌에 찬 심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특히 직무 복귀 시 잔여 임기에 연연하지 않고 개헌과 정치개혁에 임하겠다는 결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진정성을 느낄 수 있었다”며 “윤 대통령의 진심이 국민과 헌법재판관에게도 온전히 잘 전달됐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강조했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도 페이스북을 통해 “대통령의 진심을 전하는 최후진술이었다. 계엄을 결단 할 수 밖에 없었던 비상상황에 대한 소상한 설명을 통해 많은 국민들께서 지금 대한민국의 엄중한 현실을 인식하게 되었다”며 “이제 계엄을 이유로 대통령을 파면할 수 없음이 명확해졌다”고 평했다.
야당은 “윤 대통령이 마지막 순간까지 내란을 뉘우치지 않았다”며 조속한 파면을 한 목소리로 촉구하고 나섰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내란 수괴 윤석열은 마지막까지 파렴치한 거짓말과 억지 주장으로 탄핵 심판정을 더럽혔다”며 “윤석열은 끝까지 내란을 뉘우치지도, 포기하지도 않았음이 확인됐다. 헌법재판소는 잘못을 뉘우치지 않는 내란 수괴 윤석열을 하루 속히 파면해주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윤재관 조국혁신당 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윤 대통령의 최종 변론은) 예측에서 한치도 벗어나지 않았다. 그동안의 궤변과 강변을 곰국 끓이듯 우려내 반복했다”며 ““연산군도 울고 갈 역사상 최악의 폭군임을 자신의 입으로 실토한 것”이라고 평했다.
박지원 민주당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역시 윤석열은 윤석열이었다. 헌재 최후진술에서도 변명, 책임전가, 거짓말, 남 탓이 전부”라며 “개헌으로 임기연장을 꾀하려는 모습과 재판관들께 하는 아부성 발언은 측은지심”이라고 꼬집었다.
김태년 의원도 페이스북을 통해 “윤석열의 탄핵이 확실해졌다. 오늘 윤석열의 최후변론은 제2의 계엄 예고였다”며 “결국 망상이다. 사과의 제스처를 취했지만 어디까지나 제스처였을 뿐, 명명백백 국민에 대한 불복”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