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70만대 美 관세 영향…한국지엠엔 ‘치명타’

입력 2025-03-27 15: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내달 2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 공식화
현대차·기아, 현지 생산 물량 확대로 대응 방침
증설까지 최소 70만 대 관세 영향 피할 수 없어
미국에 85% 수출하는 한국지엠 ‘철수설’ 부각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24일(현지시간) 오후 백악관 루즈벨트룸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재한 발표 행사에서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부터 4년간 미국에 210억 달러(약 31조 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로이터/연합뉴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24일(현지시간) 오후 백악관 루즈벨트룸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재한 발표 행사에서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부터 4년간 미국에 210억 달러(약 31조 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달 2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에 25%를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하면서 국내 자동차 업계가 직격탄을 맞게 됐다.

현대자동차그룹은 현지생산을 확대해 대응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설비 증설 전까지는 약 70만 대가 관세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생산 물량의 85%를 미국에 수출하는 GM한국사업장(한국지엠)은 ‘철수설’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7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24일(현지시간) 대규모 대미 투자 계획을 밝힌 현대차그룹도 관세의 영향은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현대차는 관세를 지불할 필요가 없다”고 했으나 이는 미국에서 생산되는 자동차에 국한된다. 현대차·기아가 한국에서 생산해 미국에서 판매하는 제품은 관세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다.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전경. (사진=현대차그룹)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전경. (사진=현대차그룹)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미국에서 170만8293대의 차량을 판매했는데, 이 가운데 약 60%에 달하는 101만5500대를 한국에서 수출했다. 현대차·기아는 미국 현지생산을 확대해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연산 30만 대 규모의 미국 신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포함해 현대차·기아의 현지 생산능력은 현재 100만 대 수준이다.

현대차그룹은 HMGMA에 20만 대의 추가 증설을 통해 연간 생산능력을 120만 대까지 확보하기로 했다. 다만 증설이 완료될 때까지는 지난해 판매량 기준 최소 70만 대가 관세 영향에 놓일 전망이다. 게다가 신공장의 생산능력을 안정적으로 끌어올리는 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당분간은 관세 타격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는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북미 시장에서 서로 차량을 공유해 각각 로고를 달아 판매하는 ‘리뱃징’ 방안에 대해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를 통해 일부 관세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는 전기차 밴을 GM에 제공하고 GM은 중형 픽업트럭을 현대차에 제공하는 방식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인천 부평구의 한국지엠 부평공장 서문 전경. 강문정 기자kangmj@
▲인천 부평구의 한국지엠 부평공장 서문 전경. 강문정 기자kangmj@

한국지엠은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떨칠 수 없게 됐다. 지난해 총 49만4072대를 생산했는데 이 중 84.8%인 41만8782대를 미국으로 수출했다. 사실상 미국 수출을 위한 생산기지로만 활용되고 있다는 평가다.

최근에는 한국지엠 부평공장이 내달부터 생산가동조절(TPS)에 들어갈 것이란 소문이 확산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지엠 측은 “사실무근”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아직 올해 생산계획도 확정 짓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며 2018년 문을 닫은 군산공장의 수순을 밟는 것이 아니냐는 의심이 커지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미국 생산 확대, 한국지엠의 수익성 악화 등은 결국 한국에서의 자동차 생산 감소로 이어지며 한국 경제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품목이다. 지난해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347억4400만 달러로 전체 자동차 수출액(707억8900만 달러) 가운데 49.1%를 차지했다.

문용권 신영증권 연구원은 “국내 자동차 수출과 생산에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미국 현지생산을 늘릴수록 국내 공장의 미국향 수출 감소는 불가피한데, 이는 글로벌 자동차 생산 5위에서 7위로 떨어진 한국 자동차 생산에 타격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르포] ‘AGV’가 부품 95% 배달…미래 모빌리티의 요람 ‘HMGMA’
  • '연금 사수' 앞장서는 86세대, 실상은 '가장 부유한 세대'
  • 213시간 만에 잡힌 산청 산불...경북 재발화 우려에 주민대피령
  • ‘정산지연’ 명품 플랫폼 발란, 결제서비스 잠정 중단
  • 박찬대 “내달 1일까지 마은혁 미임명 시 중대 결심”
  • '그알' 교사 명재완, 왜 하늘이를 죽였나…반복된 우울증 '이것'일 가능성 높아
  • 지드래곤 측, 콘서트 70여분 지연에 재차 사과…"돌풍에 의한 안전상 이유"
  • 창원NC파크서 '구조물 추락 사고'…관람객 1명 중환자실 치료
  • 오늘의 상승종목

  • 03.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611,000
    • +0.04%
    • 이더리움
    • 2,753,000
    • -1.4%
    • 비트코인 캐시
    • 459,400
    • +0.9%
    • 리플
    • 3,255
    • +3.76%
    • 솔라나
    • 188,100
    • -0.16%
    • 에이다
    • 1,020
    • +0.69%
    • 이오스
    • 877
    • +5.66%
    • 트론
    • 345
    • -1.15%
    • 스텔라루멘
    • 404
    • +1.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080
    • -0.15%
    • 체인링크
    • 20,650
    • +0.19%
    • 샌드박스
    • 412
    • +0.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