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업 취업자 감소세가 주춤한 모습이다. 하반기에는 지표상 반등이 예상된다. 다만, 기저효과 등 통계적 착시에 기인한 것으로, 체감 고용난은 계속될 전망이다.
29일 고용노동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사업체노동력조사에 따른 건설업 종사자 감소 폭은 1월 11만4000원(전년 동월 대비, 이하 동일)까지 확대됐다가 2월 8만2000명으로 축소됐다. 경제활동인구조사상 취업자 감소도 2월 16만9000명에서 2월 16만7000명으로 다소 줄었다.
건설업 고용시장 상황에 큰 변동이 없다면 지표상 고용난은 하반기부터 개선이 예상된다. 건설업에서 사업체노동력조사상 종사자는 지난해 7월, 경제활동인구조자상 취업자는 지난해 5월부터 감소하기 시작했다. 올해 7월, 5월부터는 이에 따른 기저효과가 발생해 종사자, 취업자 감소 폭이 다소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통계상 개선이 실제 건설업 고용여건 개선을 의미하진 않는다. 실제 고용여건이 개선되려면 건설기성(시공실적)이 유의미하게 늘어야 하는데, 건설경기 침체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관련 뉴스
통계청 건설경기동향조사에 따른 건설기성액(계절조정)은 전월 대비로 지난해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6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로는 지난해 5월부터 올해 1월까지 9개월 연속 감소했다. 건설기성액 감소는 현재 건설업 종사자·취업자 감소의 주된 배경이다.
여기에 건설기성 선행지표는 건설수주(계절조정)도 지난해 12월 감소로 전환됐다. 올해 1월에는 감소 폭이 전월 대비 46.3%, 전년 동월 대비 35.2%까지 확대됐다. 단기적으로 건설기성이 회복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 무엇보다 건설수주는 전년 동월 대비로 지난해 11월까지 변동성은 있으나 증가하는 흐름을 보였는데, 건설수주 증가가 현재 건설기성 증가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자재비·인건비 상승과 자금난, 미분양 우려 등으로 집행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편, 건설업은 전체 취업자의 37.2%가 55~79세 고령층이다. 성별 비중은 남성이 압도적으로 크다. 이 때문에 건설업 취업자는 고용상황 악화 시 다른 산업과 비교해 산업 이동을 통한 재취업이 제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