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재난예비비 놓고 싸울만큼 여유롭지 않아”

입력 2025-03-30 13: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이 18일 대구 수성구 국민의힘 대구시당에서 지역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있다. 2024.03.18.  (뉴시스)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이 18일 대구 수성구 국민의힘 대구시당에서 지역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있다. 2024.03.18. (뉴시스)

유승민 전 의원은 30일 재난 대응 예비비를 포함한 추가경정예산(추경) 논의가 더뎌지는 데 대해 “민주당의 잘못은 지적하되, 지금은 재난 예비비를 놓고 계속 싸울 만큼 여유로운 때가 아니다”라고 직격했다.

유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예비비를 삭감한 것은 분명히 민주당의 잘못이지만, 탄핵은 탄핵이고 경제는 경제”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한 대행과 최상목 경제부총리를 향해 “정부가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추경의 규모와 내역을 정해서 국회에 신속히 제출하기 바란다”며 추경 편성을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을 향해선 “만약 민주당이 전 국민 25만 원이나 지역화폐 등 선거용 선심성 예산을 끼워 넣어 추경을 방해한다면 국민은 민주당을 심판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울러 민주당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재탄핵을 시사한 것에 대해서도 일침을 가했다.

유 전 의원은 “복귀한 지 5일밖에 안 된 권한대행을 재탄핵하겠다는 건 헌법재판소의 기각 결정을 무시하고 재탄핵까지 하겠다는 발상은 민주주의의 기본을 뒤흔드는 민주당의 폭거”라면서 “민주당이 이렇게 광분하는 이유는 헌법재판소를 100% 자기들 입맛대로 좌지우지하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어차피 이판사판이니까 민주주의고 삼권분립이고 다 무시하겠다는 반민주적 폭거”라고 힐난했다.

그는 “민주당이 막가파식으로 막 나가는 지금 헌법재판소가 중심을 잡고 법치를 지켜야 한다”며 “8인의 재판관 각자가 양심과 헌법에 따라 판단하고 헌법재판소는 결론을 내려야 한다”고 했다. 이어 “국민의힘도 민주당도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승복해야 한다”며 “그래야 분열과 폭력을 막고 민주공화국의 법질서를 지킬 수 있다”고 당부했다.

앞서 박찬대 민주당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 총리가 4월 1일까지 헌법 수호 책무를 이행하지 않는다면 민주당은 중대 결심을 할 것”이라며 “‘윤석열 복귀’ 프로젝트를 멈추고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4월 1일까지 임명하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113,000
    • +1.57%
    • 이더리움
    • 2,842,000
    • +3.65%
    • 비트코인 캐시
    • 463,300
    • +2.41%
    • 리플
    • 3,189
    • +1.21%
    • 솔라나
    • 189,900
    • +1.06%
    • 에이다
    • 1,020
    • +3.76%
    • 이오스
    • 1,038
    • +11.25%
    • 트론
    • 350
    • -1.41%
    • 스텔라루멘
    • 412
    • +3.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500
    • +2.43%
    • 체인링크
    • 21,200
    • +4.54%
    • 샌드박스
    • 414
    • +1.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