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관세, 민관 원팀 대응”…韓대행 “정부, 전방위 노력”

입력 2025-04-01 16: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4대그룹·정부, 위기 돌파 총력
상호관세 앞두고 재계 긴장 고조
기업 10곳 중 6곳 ‘관세 영향권’
관세 리스크 최소화 방안 논의
총수, 세제지원 등 대응책 요청
韓 “투자·혁신 저해요소 걷을 것”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경제안보전략TF 회의에 앞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상목 부총리, 정의선 현대차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한총리, 최태원 SK 회장, 구광모 LG 회장. (사진=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경제안보전략TF 회의에 앞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상목 부총리, 정의선 현대차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한총리, 최태원 SK 회장, 구광모 LG 회장. (사진=연합뉴스)

‘정부와 기업이 힘을 합쳐 미국 관세 리스크에 대응해야 한다’는 재계의 목소리에 정부가 화답했다. 삼성·SK·현대자동차·LG그룹 등 4대 그룹은 정부와 함께 관세 리스크 돌파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다만, 탄핵정국 속 국정추진 동력이 상실된 상황에서 민관합동의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의 연속성과 합의 이행 등은 극복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1일 재계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등 4대 그룹 회장은 이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를 만나 미국의 관세조치의 영향과 피해 최소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들은 통상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와 기업이 힘을 하나로 모아야 한다는 취지에 적극 공감하면서 기업도 국익 차원에서 최대한 협조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상호관세를 발표할 예정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수입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했고, 외국산 자동차에도 관세 부과를 앞두고 있다. 품목별 관세에 상호관세까지 더해지는 이중 관세에 맞닥뜨리게 되면서 재계의 긴장감은 그 어느 때 보다 높아졌다.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국내 제조기업 10곳 중 6곳에 트럼프발(發) 관세 영향권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동안 재계는 관세 리스크와 관련해 정부 차원의 대응을 주문했었다. 최태원 회장은 최근 대한상의 회장 취임 4주년을 맞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봄이 왔는데 경제는 얼어붙었다”고 진단하면서 “정부와 기업이 원팀이 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벤트성이 아니라 산업과 정부가 함께 움직이는 원팀이 되는 것이 중요하고 각자도생하는 것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정의선 회장도 최근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공장 준공식 후 기자들과 만나 “관세는 국가와 국가의 문제이기 때문에 일개 기업이 어떻게 한다고 해서 관세 정책이 크게 바뀔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관세 발표 이후 정부에서 주도적으로 해나가고 개별 기업도 계속 협상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정부의 대응은 다소 늦은 감이 있다. 콘트롤타워가 부재한 상황에서 산업계는 경제단체를 중심으로 각개전투식 관세 대응을 펼쳐 왔다. 최 회장은 대한상의 경제사절단을 이끌고 워싱턴 D.C를 방문했고, 한국무역협회는 윤진식 회장이 지난달 미국 텍사스·테네시·아칸소를 방문해 주정부 대상으로 아웃리치(대외협력) 활동을 전개했다.

경제안보전략 TF에 대한 우려의 시선도 남아 있다.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사건 선고를 계기로 또 다시 정치리스크가 경제 현안을 집어삼킬 수 있어서다. 이날 4대 그룹 회장들은 미국의 반도체과학법 및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축소 우려, 관세 부과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기업을 위해 세제지원 등 적극적인 지원책을 조속히 마련하고 미국과의 협상에 총력을 기울여달라고 요청했다. 한 대행은 투자와 혁신을 저해하는 장애물을 걷어낼 것을 약속했다.

재계 관계자는 “어떠한 정치적 변화가 생기더라도 어렵게 머리를 맞댄 민관 네트워크를 지속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일회성에 그쳐선 안 된다”며 “민관이 양보하고 합의한 경제현안에 대한 구체적 이행과 양측의 신뢰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LCK 개막하는데…'제우스 이적 ㆍ구마유시 기용'으로 몸살 앓는 T1 [이슈크래커]
  • 창원NC파크 구조물 사고, 당장 경기를 중단했어야 할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314,000
    • +0.59%
    • 이더리움
    • 2,754,000
    • -1.18%
    • 비트코인 캐시
    • 449,600
    • -2.77%
    • 리플
    • 3,123
    • -2.04%
    • 솔라나
    • 186,200
    • -1.9%
    • 에이다
    • 1,005
    • -0.1%
    • 이오스
    • 1,168
    • +14.62%
    • 트론
    • 352
    • +0.28%
    • 스텔라루멘
    • 394
    • -3.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700
    • -3.05%
    • 체인링크
    • 19,880
    • -4.74%
    • 샌드박스
    • 397
    • -2.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