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해외 주식형 자금이탈...원자재펀드는 유입

입력 2009-08-31 14: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금이탈 추세 불구 원자재 및 러시아ㆍ브라질펀드에 자금 유입 두드러져

해외주식형펀드에서 두 달째 자금이탈이 발생하는 등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있는 반면 일부 원자재펀드와 신흥아시아주식펀드로는 자금이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7월부터 해외주식형펀드에서 자금 이탈이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1월을 제외하고는 6월까지 줄곧 자금이 유입됐던 해외주식형펀드는 7월1795억원이 빠져나간데 이어 8월에도 2588억원이 유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원자재펀드와 중국펀드, 러시아 및 브릭스펀드로는 자금유입이 두드러진 것으로 조사됐다.

해외주식형펀드의 자금이탈이 지속됐던 지난 7월과 8월동안 JP모간운용의 'JP모간천연자원증권자투자신탁A(주식)'에는 245억원이 유입되며 두각을 나타냈다. 또 블랙록자산운용의 '블랙록월드광업주증권자투자신탁(주식)(H)(A)'에는 188억원이 유입됐다.

이들 펀드는 연초이후 78.91%, 49.2%의 성과를 기록, 같은기간 해외주식형펀드 평균 수익률인 41.25%를 웃돈 것으로 조사됐다.

최정원 현대증권 WM컨설팅센터 연구원은 "세계 경기가 회복추세에 접어들었다는 의견이 많아지는 가운데 원자재 수요증가가 전망되고 있다"며 "이에 원자재펀드나 러시아, 브라질 등 원자재관련 국가에 투자하는 펀드들로 자금 유입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신한BNPP브릭스증권투자신탁 1[주식-재간접형]'와 'JP모간러시아증권자투자신탁A(주식)'에도 각각 163억원, 146억원 유입되며 자금유입 상위펀드에 이름을 올렸다.

최 연구원은 "러시아나 브라질펀드는 장기적으로 세계경기 회복에 따른 원자재 수요증가로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다만, 단기급등에 따른 부담감이 형성됨에 따라 조정의 가능성도 염두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 외에도 중국펀드로의 자금유입도 관찰됐다. 최근 두 달동안 'KB스타차이나H인덱스증권자투자신탁(주식-파생상품형)A', '미래에셋맵스차이나H인덱스증권투자신탁1(주식)종류A'에는 각각 116억원, 115억원이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석원 현대증권 WM컨설팅센터연구원은 "중국본토펀드와 H주 펀드에 대해 보유전략을 제시한다"면서 "중국증시의 유동성은 아직까지 괜찮지만 상승 탄력이 둔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펀드의 장기 성장 추세는 변함없지만, 단기적으로는 차익을 실현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료:에프앤가이드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기 무역전쟁 시작됐다...“삼성 등 압박·미국도 다친다”
  • "이 감성 못 잃어"…젠지 선택받은 브랜드들의 정체 [솔드아웃]
  • '나솔사계' 미스터 박, 환승이별 의혹 부인…"여자친구 잘못 없어, 나만 조롱해"
  • 카나나 공개 앞둔 카카오, AI 늦깎이 꼬리표 뗄까
  • 트럼프 열기 식어…1월 국내 가상자산 거래대금 30%↓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연 1조 ‘테이블오더’ 시장 출사표
  • SK하이닉스 시총 16조 증발…딥시크 충격 언제까지
  • 커지는 딥시크發 ‘엔비디아’ 회의론…韓 AI 팹리스에도 기회 열리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1.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5,112,000
    • -1.38%
    • 이더리움
    • 4,810,000
    • -4.03%
    • 비트코인 캐시
    • 614,000
    • -5.03%
    • 리플
    • 4,383
    • -4.34%
    • 솔라나
    • 330,600
    • -5.19%
    • 에이다
    • 1,359
    • -4.9%
    • 이오스
    • 1,104
    • -9.36%
    • 트론
    • 373
    • -4.6%
    • 스텔라루멘
    • 592
    • -5.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70,400
    • -5.63%
    • 체인링크
    • 34,590
    • -8.27%
    • 샌드박스
    • 723
    • -8.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