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보안·서버업계 '공공 특수' 누린다

입력 2009-10-13 17: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부, 국가정보화 예산 올해보다 5.5% 증가한 3조3102억원 편성 전망

내년도 국가정보화 예산이 올해 대비 5.5% 늘어난 3조3102억원 규모로 편성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IT업체들도 반색하는 분위기다. 아직 국회 예산 심의를 거치진 않았지만 적어도 올해보다 줄어들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분석이다.

특히 국가정보화 예산중 정보보호 사업과 범정부 전산장비 통합 구축 및 운영사업에 예산이 대폭 증액되면서 보안업체와 서버·스토리지업체의 특수가 예상되고 있다.

한국정보산업연합회가 13일 오후 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에서 발표한 '2010년 정부부처별 정보화사업계획' 에 따르면 내년도 국가 정보화예산은 일반회계 1조8546억원과 특별회계 3665억원, 기금 1조892억원으로 총 3조3102억원에 달했다.

가장 많은 예산이 증액된 사업은 범정부 전산장비 통합 구축 및 운영사업이다. 올해 예산편성 조차 되지 않았던 이 사업은 내년 885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 사업의 골자는 대전과 광주에 각각 위치한 제1·2정부 통합전산센터내 약 2만대의 서버중 노후화된 서버를 교체하는 것이다.

김사중 기획재정부 지식경제예산 사무관은“단순히 노후장비들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대용량 서버로 통합해 관리 대상 감소 및 전기사용료 절감을 시도하는 것”이라며“단순 공급하면 1600억원이 투입되지만 이런 작업을 통해 예산을 885억원까지 줄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지난 7월 발생한 분산서비스거부(DDos)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정보보호 사업도 예산이 대폭 증액됐다. 정보보호 사업은 올해 1742억원에서 내년 2072억원으로 330억원(18.9%)이 늘어났다.

각 정부기관의 업무망과 인터넷망을 분리하고 6개 사이버 관제센터 구축·운영, 4개 기관의 비밀관리시스템 구축 등이 이뤄지게 된다. 부처별로는 정보보호인프라 확충, 개인정보 유출 및 오남용 방지 등이 실시된다.

김사중 사무관은“특히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인력과 예산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이번 예산안 발표에 따라 보안업체와 서버·스토리지 등 장비업체가 상당한 특수를 누릴 전망이다. 특히 사업규모가 큰 만큼 각 분야의 선두업체인 한국HP, 한국IBM, 효성인포메이션, 한국EMC, 안철수연구소, 잉카인터넷, 이스트소프트 등의 사업수주를 위한 움직임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서버업계 관계자는“범정부 전산장비 통합 구축 및 운영사업의 규모(885억원)는 최근 몇 년 동안을 살펴봐도 단일 사업으로는 최대 규모”라며“사업 수주 여부에 따라 서버 업체의 순위도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기 무역전쟁 시작됐다...“삼성 등 압박·미국도 다친다”
  • "이 감성 못 잃어"…젠지 선택받은 브랜드들의 정체 [솔드아웃]
  • '나솔사계' 미스터 박, 환승이별 의혹 부인…"여자친구 잘못 없어, 나만 조롱해"
  • 카나나 공개 앞둔 카카오, AI 늦깎이 꼬리표 뗄까
  • 트럼프 열기 식어…1월 국내 가상자산 거래대금 30%↓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연 1조 ‘테이블오더’ 시장 출사표
  • SK하이닉스 시총 16조 증발…딥시크 충격 언제까지
  • 커지는 딥시크發 ‘엔비디아’ 회의론…韓 AI 팹리스에도 기회 열리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1.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5,178,000
    • -1.16%
    • 이더리움
    • 4,839,000
    • -3.28%
    • 비트코인 캐시
    • 623,000
    • -4.01%
    • 리플
    • 4,427
    • -3.51%
    • 솔라나
    • 332,300
    • -5%
    • 에이다
    • 1,371
    • -4.06%
    • 이오스
    • 1,118
    • -9.47%
    • 트론
    • 376
    • -3.59%
    • 스텔라루멘
    • 602
    • -3.83%
    • 비트코인에스브이
    • 71,100
    • -5.07%
    • 체인링크
    • 34,900
    • -7.67%
    • 샌드박스
    • 736
    • -7.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