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국가정보화 예산이 올해 대비 5.5% 늘어난 3조3102억원 규모로 편성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IT업체들도 반색하는 분위기다. 아직 국회 예산 심의를 거치진 않았지만 적어도 올해보다 줄어들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분석이다.
특히 국가정보화 예산중 정보보호 사업과 범정부 전산장비 통합 구축 및 운영사업에 예산이 대폭 증액되면서 보안업체와 서버·스토리지업체의 특수가 예상되고 있다.
가장 많은 예산이 증액된 사업은 범정부 전산장비 통합 구축 및 운영사업이다. 올해 예산편성 조차 되지 않았던 이 사업은 내년 885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 사업의 골자는 대전과 광주에 각각 위치한 제1·2정부 통합전산센터내 약 2만대의 서버중 노후화된 서버를 교체하는 것이다.
김사중 기획재정부 지식경제예산 사무관은“단순히 노후장비들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대용량 서버로 통합해 관리 대상 감소 및 전기사용료 절감을 시도하는 것”이라며“단순 공급하면 1600억원이 투입되지만 이런 작업을 통해 예산을 885억원까지 줄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지난 7월 발생한 분산서비스거부(DDos)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정보보호 사업도 예산이 대폭 증액됐다. 정보보호 사업은 올해 1742억원에서 내년 2072억원으로 330억원(18.9%)이 늘어났다.
각 정부기관의 업무망과 인터넷망을 분리하고 6개 사이버 관제센터 구축·운영, 4개 기관의 비밀관리시스템 구축 등이 이뤄지게 된다. 부처별로는 정보보호인프라 확충, 개인정보 유출 및 오남용 방지 등이 실시된다.
김사중 사무관은“특히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인력과 예산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이번 예산안 발표에 따라 보안업체와 서버·스토리지 등 장비업체가 상당한 특수를 누릴 전망이다. 특히 사업규모가 큰 만큼 각 분야의 선두업체인 한국HP, 한국IBM, 효성인포메이션, 한국EMC, 안철수연구소, 잉카인터넷, 이스트소프트 등의 사업수주를 위한 움직임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서버업계 관계자는“범정부 전산장비 통합 구축 및 운영사업의 규모(885억원)는 최근 몇 년 동안을 살펴봐도 단일 사업으로는 최대 규모”라며“사업 수주 여부에 따라 서버 업체의 순위도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