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 가능한 응급환자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 정부가 선진국 수준의 응급의료 선진화에 나서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오는 2012년까지 전국 모든 환자의 이송시간이 30분내로 크게 단축될 전망이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예방가능한 응급환자 사망률을 현재 33%에서 2012년까지 25%로 낮추는 것을 주요목표로 하는 '3개년 응급의료 선진화 추진계획'을 22일 발표했다.
먼저, 복지부는 3년간 총 1187억원을 투입, 응급환자 발생시 전국 어디서나 30분 내에 응급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응급의료 취약지를 전면 해소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환자 이송시간이 30분 이상 걸리는 전국 175개 읍·면지역에 119구급 지원센터를 단계적으로 설치해 2012년까지 이송에 30분 이상 소요되는 지역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이외 일부 낙도·오지 지역은 헬기·경비정으로 환자이송 중에 응급처치가 가능하도록 해양경찰청, 산림청 등의 헬기·선박에 응급의료장비를 보강(헬기 24대, 경비선 139척, 총 253억원)할 계획이다.
또한, 응급의료기관이 없는 43개 군 지역에 응급의료기관 설치를 위한 대폭적인 재정 지원을 함으로써 전국 모든 시ㆍ군ㆍ구에 응급의료기관이 운영되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3년간 총 760억원을 투입, 응급의료기관의 질적 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킨다는 목표 하에 현재 71%에 불과한 전문의 인력 충족률(지역응급의료센터 이상)을 2012년까지 100%로 끌어올릴 예정이다.
복지부는 이를 위해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평가 및 지원을 대폭 강화해 현재 시설·장비 등 하드웨어 중심의 평가를 내년부터는 전문의 진료, 치료신속성 등 질적 평가로 전환하는 한편 평가결과를 인터넷·언론 등에 공개하기로 했다.
또 인력 등 법적 요건을 충족한 응급의료기관에는 기본보조(1∼3억원)를 실시하고 신속성·소생률 등 진료의 질적 수준이 높은 상위 50%는 차등지원(1등급 10%, 2등급 15%, 3등급 25%으로 0.5∼2억원 지원)을 통해 응급진료 질 향상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반면 인력 등 기본요건을 갖추지 못한 응급의료기관에 대해서는 일체의 지원을 배제하고, 응급의료기관 지정권이 있는 해당 시ㆍ도에 대해서도 재정지원 규모를 삭감하는 등 패널티를 부여할 예정이다.
이와함께 복지부는 광역, 지역 거점별 외상센터를 각각 3-5곳, 20-30곳을 지어 중증응급질환에 대한 전문치료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119구급차 장비보강, 119상황실 자문의사 배치, 공공기관에 자동제세동기 설치, 응급처치 교육 확대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계획에 소요되는 재원은 3년간 약 6000억원 규모로 내년부터 한시적으로 대폭 확대되는 응급의료기금을 통해 조달할 계획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응급의료 선진화 계획을 통해 국가 응급의료체계가 한 단계 발전해, 선진국 수준으로 각종 지표가 향상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향후 계획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지방자치단체에 책임과 권한을 부여해 지자체의 응급의료정책 수립을 유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