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과 삼성물산 등 국내 6개 대형 건설사들이 4대강 턴키 1차사업에서 담합으로 공사를 낙찰받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09/11/20091108025016_desk_1.jpg)
이들 건설사들은 지난 5월, 6월에 걸쳐 서울시내 호텔과 삼계탕집 등에서 여러차례 담합회의를 가졌다.
이 의원에 따르면 담합 주도 세력인 현대건설 등 6개 건설사는 전국 15개 공구 중 영산강 2개 공구는 호남연고 건설사(금호, 한양, 남양 등)에 맡기기로 하고, 13개 공고를 나눠먹는 논의를 진행했다. 그 결과 대형사 6개사가 각각 두 개의 공구를 갖고자 했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포스코건설(시공능력평가 순위 6위)과 현대산업개발(7위)가 한 공구 조차도 갖지 못하게 됨에 따라 대우건설에게 양해를 구해 대우는 한 구역만 맡게됐다고 이 의원은 주장했다.
대우는 과거에 금강구역에서 한 구역을 맡은 바 있었기에 이번에는 양보를 구한 것이다.
이 이원은 "이에 따라 13개 공구에 대해 현대, 삼성, GS, SK, 대림이 2개씩 갖고 대우, 포스코, 현산 등은 1개의 공구를 갖기로 나눠먹기 구도가 결정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이원에 따르면 일반경쟁 입찰에 붙일 경우 예정가의 65% 정도에 보통 낙찰되는데, 대형 건설사들이 4조원이나 되는 4대강 1차사업의 턴키담합으로 93.4%의 높은 낙찰률을 보여, 결국 국민의 혈세가 1조2000억원이 낭비된 셈이다.
이 이원은 "담합을 통해 높은 낙찰율로 국민세금을 퍼주기 하고, 초대형 건설사들만 공사를 독식하게 하는 입찰담합의 부조리를 정부가 근절하도록 해야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