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유성 산은금융그룹 회장은 18일 대우건설 매각과 관련해 “금호그룹이 연내 매각을 마무리 짓기 위해 마지막 조율을 시도 중"이라며 "만일 대우건설 매각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해 비상대책(플랜B) 등 다양한 대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민 회장은 이날 남아프리카공화국 산업개발공사(IDC)와의 업무제휴식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주채권은행 자격으로 금호그룹의 대우건설 매각 실패에 대비한 차선책을 검토하고 있다”며 “진정한 자격 있는 전략적 투자자(SI)가 있을 때 금융을 지원하는 방안도 포함해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대우건설 매각 불발시 비상계획에 대해서는 산업은행이 주체가 되는 PEF(사모펀드) 참여 가능성은 물론 다른 채권단과 함께 움직일지 여부조차 밝히지 않았다.
또한 대우건설 매각 협상에 대해서는 “지금은 매각 주간사가 아니기 때문에 진행상황을 모른다"고 했다.
그는 "금호그룹이 연내 단독우선협상대상자를 밝힐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금호그룹이) 여러 요소를 고려해 잘 진행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민 회장은 대우건설뿐만 아니라 쌍용차와 GM대우, 대우조선해양의 현안에 대해서도 생각을 밝혔다.
쌍용차와 관련해서 민 회장은 “신차개발과 시장개척 등의 능력이 있는 좋은 인수주체가 나와 주길 기대한다”며 “확실한 인수주체가 나타나면 추가자금 지원을 함께 논의할 수 있으나, 산은 단독으로는 하기는 어렵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GM대우 문제에 대해 “서둘러 결론 낼 부분이 아니다”라며 “산은 입장을 확실히 전달한 만큼 내년 협의를 해나가야 할 문제”라고 밝혔다.
그는 “GM대우가 국내 자동차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며 “GM이 이같은 방향을 확실하게 해줄 안을 가져온다면 적극적인 지원을 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자금 지원은 어렵다”고 강조했다.
대우조선해양 매각에 대해서는 “시기에 구애 받아 졸속매각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시장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좋은 매수주체가 확보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민 회장은 대우조선해양과 함께 매각대상으로 거론되는 기업들에 대해서도 M&A 시장의 상황을 주시하되 무리한 일정으로 시장에 충격을 주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