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물가급등으로 줄줄이 금리인상

입력 2010-03-19 21: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아시아 각국의 경제가 회복되면서 물가가 급등해 하반기 줄줄이 금리인상이 예상된다고 영국 경제 일간지 파이낸셜 타임스(FT)가 19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두자릿수 성장이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있다'는 제목의 싱가포르발 기사에서 "다른 지역이 경제 성장 또는 둔화를 우려하는 때에 아시아 지역 정책 입안자들은 소비자들의 불만을 들으며 물가 급등이라는 다른 문제를 신경써야 할 입장"이라고 전했다.

아시아 지역의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인도의 도매물가지수는 지난해 2월 8.6%에서 올해 9.86%로 높아졌고 중국의 소비자 물가는 1월 1.5%에서 2월에는 16개월만에 최고인 2.7%를 기록했다. 베트남의 물가상승률은 7개월만에 2배인 8.5%를 기록했고 한국의 물가상승률은 중앙은행의 억제목표치인 3%를 기록했다.

FT는 인플레이션의 원인에 대해 인도는 식품가격 및 유가에 따른 것이지만 호주의 인플레이션은 폭발적인 중국발 원자재 수요가 주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일본을 제외한 대부분 아시아 국가의 연간 국내총생산(GDP)이 3분기 연속 두자릿수 성장한 점을 물가 급등의 배경으로 지목했다.

이러한 GDP 성장은 미국, 유럽연합, 일본의 아시아에 대한 수출이 저조한 상황에서 이뤄진 것으로 아시아 소비자들의 역할이 예상보다 훨씬 크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는 FT는 풀이했다.

또한 아시아 국가 중앙은행들이 긴축 통화정책을 펴도록 압박을 받고 있기 때문에 올해 GDP 성장률이 6.5% 선에서 멈출 것으로 예상했다.

금융위기 이후 금리를 인상한 국가는 호주, 말레이시아, 베트남이며 중국과 인도는 금리를 올리지 않는 대신 은행 지급준비율 강화에 의지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TV만 틀면 나온다"… '다작의 아이콘' 전현무가 사는 '아이파크 삼성'은 [왁자집껄]
  • 단독 “판사 여기 숨어 있을 거 같은데”…‘서부지법 사태’ 공소장 보니
  • '국가대표' 꾸려 AI 모델 개발 추진…"중·소·대기업 상관없이 공모" [종합]
  • [날씨] 전국 맑고 '건조 특보'…시속 55km 강풍으로 체감온도 '뚝↓'
  • 트럼프發 반도체 패권 전쟁 심화…살얼음판 걷는 韓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MRO부터 신조까지…K조선, ‘108조’ 美함정 시장 출격 대기
  • ‘나는 솔로’ 24기 광수, 女 출연자들에 “스킨쉽 어떠냐”…순자 “사기당한 것 같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799,000
    • +0.58%
    • 이더리움
    • 4,049,000
    • +0.15%
    • 비트코인 캐시
    • 478,900
    • +0.61%
    • 리플
    • 3,974
    • +4.03%
    • 솔라나
    • 254,300
    • +0.83%
    • 에이다
    • 1,159
    • +1.67%
    • 이오스
    • 951
    • +2.92%
    • 트론
    • 354
    • -2.48%
    • 스텔라루멘
    • 503
    • +1.2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750
    • +0.71%
    • 체인링크
    • 26,870
    • +0.37%
    • 샌드박스
    • 546
    • +0.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