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타 리콜 사태로 포드, GM등 미국 자동차 회사가 최대 수혜주로 부상하면서 국내 자동차 부품 구매를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요타 리콜 사태가 국내 자동차 부품의 미국시장 진출에 기회가 되고 있다.
1일 코트라가 발간한 '도요타 리콜 사태의 국내 자동차부품업계 대미 수출영향분석' 자료에서 "토요타 리콜 사태가 국내 자동차 부품의 미국시장 진출에 기회가 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코트라 자료는 미국 현지에 진출한 국내 부품업체 20개사에 대한 설문조사와 미국 자동차산업 분야 전문가 4명에 대한 심층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자료에 따르면 미국 현지에 진출해 있는 국내 부품업체 20개사중 도요타 사태가 매출액에 미친 영향을 묻는 질문에 65%인 13개사가 도요타 사태 후 납품 물량이 증가했다고 답했다.
증가 이유에 대해서는 포드와 GM, 그리고 이들에게 납품하는 1, 2차 납품업체로부터의 부품 주문량 증가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도요타 리콜사태가 본격적으로 시장에 영향을 미친 올 1, 2월 동안 포드의 판매량이 전년 동월 대비 1월에 25%, 2월에는 무려 43%나 증가한 것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올 1, 2월 동안 우리 자동차부품의 미국시장 수출 역시 전년 동기 대비 199.2% 증가했다. 한편, 도요타 리콜 사태 전과 납품 물량에 변화가 없다고 답한 회사는 7개사였다.
현지에 진출해 있는 A사 관계자는 "올 1∼3월 포드로부터의 주문 물량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고 T사 관계자도 "포드로부터의 물량이 증가하면서 가장 큰 바이어로 부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트라 관계자는 "미국 자동차 시장의 회복으로 납품 물량이 더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며, 긴급한 주문에 대비하기 위해 재고 수준 관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