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도요타 사태를 계기로 글로벌 생산에 따른 품질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글로벌 생산 품질ㆍ안전관리 지원을 위한 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절대 품질론'을 내세우고 있는 S사, '품질을 향한 끝없는 도전'으로 무장한 H사 등 국내 굴지의 첨단기업들은 자발적인 품질혁신 활동으로 글로벌 생산에 의한 리스크 관리에 대처해 나가고 있지만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특히 최근 도요타 리콜사태에서 보듯 글로벌 품질관리는 중요하다.
이에 따라 기표원은 리스크가 최소화되도록 지원하기 위해 자동차 및 가전제품 등 주력 완제품의 부분품으로서 소비자 불만이 증가되거나 안전.유해정보 등이 수집해 완제품의 안전과 품질에 치명적 영향을 줄 우려가 있는 부분품을 집중적으로 분석, 평가한 후 관련 정보를 기업에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지난달 품질전담팀을 발족하고 품질관리가 상대적으로 취약할 우려가 있는 중소기업 생산ㆍ수입 부품을 대상으로 선정 작업에 들어갔다. 올해 시범적으로 5개 내외의 부분품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연차적으로 확대를 검토해 나갈 방침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글로벌 생산부품 조달기업의 품질관리 활동지원을 위해 해외 품질 공급망 관리, 안전을 접목한 품질관리 매뉴얼을 개발해 보급할 계획"이라며 "해외 협력기업과 연계한 품질관리 활성화를 위해 매년 개최되는 품질분임조 경진대회에 해외 협력기업의 참여도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