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의 참패로 지방선거가 마무리 됐지만 전체 부동산 시장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가계부채 건전성 관리 등을 위해서라도 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등은 상당 기간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동산 공약이 그 어느때보다 낮았다는 점을 감안할때 선거 결과에 좌우되지 않고 전반적인 거시경제 정책에 더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 역시 이번 선거 결과를 두고 부동산 시장이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오히려 완만한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양극화 현상이 더욱 또렷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분석이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대표는 "현재 부동산 시장은 지방선거 이슈보다는 시장에 변화를 줄 수 있는 호재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며 "앞으로 금리 인상 등에 대한 악재가 남아있어 시장은 더 하향 안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
석했다.
장재현 부동산뱅크 분양팀장은 "시장 침체의 주요 원인은 강력한 DTI규제와 보금자리주택이다. 지방선거에서도 민생안정이나 개발 이슈가 부각되지 않아서 집값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정부가 거래활성화를 위해 특별한 조치를 내놓지 않는 이상 서울, 수도권 거래시장은 더욱 더 악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반기 예정된 금리 상승이 시장을 더 암울하게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함영진 부동산써브 실장은 "집값 상승견인할 재료가 보이지 않는다. 정책의 틀도 바뀌기 쉽지 않은 데다 금리도 올려야 해서 꺼낼 카드도 마땅치 않아 보인다"라며 시장이 당분간 살나기 쉽지 않을 것으로 관측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건설사들에 대한 구조조정을 마치고 난 뒤 부동산 시장을 살리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펼쳐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거래 활성화 등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