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이 4%대를 무난히 달성할 것이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1일 "올해 5.9%에 이어 내년에는 성장률이 4.3%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앞서 LG경제연구원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4.0%로 발표했고 삼성경제연구소는 다소 보수적인 3.8%를 제시했다.
국내외 주요 기관은 민간 연구소보다 높게 잡고 있다. 한국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은 모두 내년 우리나라의 성장률을 4.5%로 예측했다.
해외 투자은행(IB) 중에서는 골드만삭스와 BOA-메릴린치가 4.6%를 예상했다. 여타 유수의 IB들도 대부분 4%를 넘는 성장률을 기대했다.
'올해 6%, 내년 4%'의 성장 전망을 놓고 민간 연구소들은 내년 성장세 둔화 쪽에 해석의 무게를 뒀다.
LG경제연구원 이근태 연구위원은 "세계 경기의 둔화로 수출 활력이 뚜렷하게 저하되고 설비투자 증가율도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내년 성장률이 낮아지는 것은 올해 성장률이 높은 데 따른 반사 효과 등이 작용한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한은 관계자는 "경기 추세를 나타내는 전기 대비 성장률이 올해 3분기 0.7%에서 4분기 0.9%, 내년 1분기 1.1%, 2분기 1.3% 등으로 높아질 것"이라며 "성장세는 유지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