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보험업계의 피해보상액이 1조엔(약 1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995년 한신대지진 당시의 800억엔을 넘어 사상 최대를 기록할 전망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도쿄해상홀딩스 등 3개 대형보험사는 이번 대지진으로 인한 지진보험금 지급 건수가 수십만 건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신대지진 당시에는 6만5000건이었다.
손해보험사들은 1996년부터 지진보험의 총 지급한도가 기존의 4배로 상향돼, 1건당 지급액은 한신대지진 당시의 2배가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 대지진과 관련한 지진보험 지급액에 대해, 재난 리스크 모델회사인 에케캣(Eqecat)은 6400억~1조2000억엔, 골드만삭스는 8610억엔으로 각각 추정했다.
이번 지진보험금 지급은 이례적으로 일본 정부와 민간이 분담하게 된다.
일본에서는 정부와 민간이 피해규모에 따라 보상을 분담하는 지진보험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지진은 시장원리에만 의존해 통제할 수 없는 리스크인 만큼 일본은 1966년 정부가 운영주체로 참여하는 지진보험제도를 도입해 보상금을 정부와 민간이 분담키로 했다.
예를 들어 지진보험금 지급액이 1150억엔이면 민간 손해보험사가 100%를 부담하고, 1150억엔이 넘는 분은 1조9250억엔까지는 정부가 민간이 절반씩 부담한다.
5조5000억엔까지는 정부가 95%를, 민간이 5%를 부담하고, 총 지급액이 5조5000억엔 미만이면 보험사가 전액을 지급한다.
대지진으로 정부가 보험금을 지급하는 것은 한신대지진에 이어 두 번째다.
한편 외환시장에서는 일본 보험사들이 피해보상금 지급을 위해 외화 자산을 팔아 엔을 확보할 것이라는 소문이 퍼져 엔화 초강세를 유발했다.
이에 대해 일본손해보험협회의 스즈키 히사시 회장은 “유동성 높은 자산이 충분해 외화 자산을 회수할 필요는 없다”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