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불안에 중국 정부가 긴축 고삐를 늦출 것이라는 전망이 커지고 있다.
중국 인민은행과 은행감독위원회는 미국 신용등급 강등 후 글로벌 금융시장이 요동치자 최근 회의를 잇따라 개최해 하반기 금융정책을 논의하고 있다고 11일(현지시간) 중국증권보가 보도했다.
이 회의에서 흘러나오고 있는 소식들을 종합하면 당국이 물가 인상이 조만간 정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하반기 통화정책을 지금보다 약간 느슨하게 미세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농민이나 중소기업, 서민용 주택건설 등의 분야에 대해서 차별적으로 대출조건을 완화하는 방법 등을 통해 일부 느슨한 통화정책을 도입하는 방안 등이 유력하다.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기존 긴축 정책 기조를 유지하되 글로벌 경제불안에 더 큰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는 중소기업 등 경제적 취약층을 돕고 경기둔화를 막기 위해 정부가 일부 분야에 대해 차별적으로 긴축정책을 완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류밍캉 은행감독위원회 총재는 최근 회의에서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면서 “중소기업 대출 증가율이 전체 수치보다 높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에 중국이 기준금리 인상을 내년으로 미룰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았다.
블룸버그통신은 최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중국이 한국과 일본의 시장안정 움직임에 공조하면서 올해 말까지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가 우세했다고 전했다.
UBS의 왕 타오 이코노미스트는 “현재 세계 경제 침체가 예상되는 만큼 중국은 당장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이다”며 “중국의 인플레이션은 정점에 달했고 식료품 가격은 이미 진정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