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항공기업체 보잉이 향후 20년간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1250대의 신규 항공기 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약 2000억달러 규모다.
랜디 틴세스 보잉 상용기 부문 마케팅 부사장은 18일 조선호텔 기자간담회를 통해 “동북아시아의 빠른 경제 성장과 자유화가 여객 수송 시장을 견인하고 있다”며 “한국은 일본과 중국 사이에 위치해 지리적으로 매우 유리한 입지에 있어 아시아 주요 시장으로 가기 위한 게이트 웨이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틴세스 부사장은 “동북아시아 지역의 항공 여행이 향후 20년간 매년 약 4.3% 성장할 것”이라며 “한국의 역동적인 경제와 항공여행에 대한 높은 수요가 동북아시아 지역의 항공 시장 성장을 견인 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특히 앞으로 동북아시아 지역에 인도되는 1250대 항공기의 약 3분의 2가 신규 성장으로 인한 수요일 것으로 보잉 측은 예측했다. 여기다 퇴역할 항공기에 대한 대체 수량을 포함하면 동북아시아 항공기는 현재 690대에서 오는 2030년까지 1520대로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동북아시아는 특히 이중통로 항공기와 대형 항공기의 큰 시장으로 예상되고 있다.
틴세스 부사장은 “이중통로 항공기와 대형 항공기의 수량으로 볼 때 이 지역 항공기 수요의 45%를 차지하고 금액 측면에서 보면 거의 70%를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또 동북아시아 지역과 국내선을 운항하는 저가 항공사들의 성장으로 단일통로 항공기도 신규 인도 항공기의 46%를 차지할 것으로 보잉 측은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