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중국 경제의 급부상과 유럽의 재정통합 논의 등을 앞으로 10여 년간 세계경제에서 주시할 핵심 포인트로 선정했다.
재정부는 5일 ‘2020년 세계경제 5대 관전포인트’ 보고서를 통해 아시아 부흥을 이끌며 급부상한 중국이 막강한 경제·군사력·기술과 소프트파워를 통해 세계의 주도세력으로 변모할 것으로 전망했다.
늦어도 2020년에는 중국이 경제 규모에서 미국을 추월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재정부는 “중국의 정치·경제적 영향력이 아시아·태평양 권역을 중심으로 확대되면서 우리나라가 동북아의 지정학적 구심점 역할을 할 가능성이 증대될 것”이라며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과 문화콘텐츠 협력 추진 필요성도 역설했다.
유럽 재정위기에 대해서는 재정통합이 유일한 대안이라고 지적했다. 재정부는 “국가 간 경제적 차이가 반영되기 어렵고 경제적 불균형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경쟁력이 약한 국가들의 정책대안은 재정확대가 유일하다”며 재정통합이 유럽경제의 잠재위험을 해결하기 위한 근본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새로운 기후변화 체제 출범’, ‘선진국 재정건전성 달성’, ‘인구증가 및 구조변화의 영향’을 또 다른 관전포인트로 재정부는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