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이 7개 시중은행 가계부채 실태에 대한 첫 공동검사에 나선다. 지난해 12월 한은법 개정안이 시행된 이후 실시되는 첫번째 공동검사여서 금융권 안팎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과 금감원은 국민·우리·신한·하나·기업·한국씨티·SC은행 등 7개 시중은행에 대해 오는 16일부터 5일간 공동검사에 착수한다.
이번 공동검사는 한은측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검사 내용은 금융회사의 취약부문(저소득층)에 대한 대출취급 현황, 은행의 금리운영, 리스크 관리의 적정성 등을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이번 검사에서 한은과 금감원은 각각 3명씩 6명의 검사원을 은행별로 파견할 예정이다.
한은이 금감원에 공동검사를 요구하고 나선 것은 국내경제가 침체되면 가계부채 문제가 한국경제에 직격탄을 줄 것으로 판단, 미리 문제 원인을 정확히 파악해 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한은은 수요 측면인 대출자(가계 등)에서 제공되는 간접적인 데이터를 갖고 가계부채에 관한 조사를 해왔으나, 이번 검사를 통해 공급자(금융기관)의 데이터를 자고 분석할 수 있게 됐다.
앞서 권혁세 금감원장도 “가계부채 문제와 금리 문제는 범정부적으로 나설 문제이기 때문에 한은의 공동검사 요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라”고 주문했다.
한편, 한은이 발표한 ‘2011년 4분기 가계신용’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부채는 66조원 증가해 연말 기준으로 912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가구당(전체 가구 2001만9850가구) 4560만 원 가량의 빚을 지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