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10일 현행 무상보육 지원체계를 개선키로 했다. 보육대란을 해결하기 위해서다.
신의진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무상보육 지급방식을 부모가 직접 아이를 키우는 것을 활성화하는 쪽으로 개선키로 했다”며 “부모가 양육수당이든 보육료든 지원방식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신 의원은 “만 2세 이하는 시설보다 가정에서 보육하는 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권고사항이기도 하다”며 “앞으로 당정협의를 거쳐 개선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재 만 0~2세 영아는 보육시설에 맡기면 모두 보육료를 지원하지만 가정에서 키우면 소득하위 15%에만 양육수당이 지급된다. 이로써 보육시설 수요만 급증시키는 부작용이 발생했다.
그는 “4·11 총선 공약으로 제시한 ‘만 0~5세 영유아 무상보육’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며 “소득에 관계없이 보육료를 지원하고 양육수당 지급을 확대하는 데 소요되는 예산은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