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내에서 안철수 서울대 교수와의 야권 후보 단일화를 위한 논의가 더욱 가시화하고 있다.
우상호 최고위원은 5일 라디오 방송에서 “안 교수가 단일화 자체를 거부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우 최고위원은 전날 윤호중 사무총장이 ‘민주당 입당 없는 단일화가 불가능하다’는 요지의 발언을 한 데 대해 “안 교수가 후보 단일화에 응할 때 민주당을 염두에 두고 고민해달라는 부탁으로 해석한다”고 설명했다.
순회경선이 반환점을 돌면서 민주당 대선주자들도 저마다 경선 이후 안 교수와의 단일화 방식에 대한 구상을 밝히거나 본격적으로 비교 우위를 강조하고 나섰다.
선두를 달리고 있는 문재인 대선경선 후보는 안 교수와의 단일화 방식에 대해 “합의에 의한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경쟁을 통한 단일화를 도모해야한다”고 방안을 내놨다.
문 후보는 그러면서 “제가 민주당 후보가 되는 순간, 지지도나 위상이 완전히 달라질 것이다. 민주당이라는 전통 있고 저력 있는 전국적인 지지기반이 있는 정당의 뒷받침을 갖고 경쟁하면 이기지 못할 이유가 없다”며 안 교수와의 경쟁에서 우위에 있다고 자평했다.
손학규 후보는 안 교수와의 단일화와 관련 “민주당 경선이 실패했다고 하지만, 불과 지난 열흘 동안 있는 말이다. 새 활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이에 따라 안 교수와의 (단일화) 방향도 새롭게 설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두관 대선경선 후보는 안 교수의 재개발 아파트 입주권(일명 딱지) 구매 의혹 등에 대해 “평범한 사람인데 보수언론에서 흠 잡기식 신상털기에 나서 안타깝다”고 감싼 뒤 “안 교수는 민주당 입장에서 평화적 정권교체를 함께 할 분”이라고 평했다.
이런 가운데 안 교수의 입당 가능성이 현실적으로 낮다는 이유로 입당과 무소속 출마 사이의 타협안을 찾아야 한다는 ‘절충론’이 나온다.
안 교수와 친분이 있는 문국현 전 창조한국당 대표는 민주당이 안 교수에게 입당 후 단일화를 요구하고 있는 데 대해 “기존 양대 정당에서 억지로 기득권 안에 끌어들이려고 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문 전 대표는 “국민들이 기존 정당에 실망해서 안 교수가 불려 나와 국민들을 대변하게 된 것인데 어느 한 정당에 들어간다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며 “당선 후라면 정치 지각이 다 바뀌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 정당이 의미가 없어질 것”이라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