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쌀)
23일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쌀 자급률은 2010년 104.6%에서 지난해 83.0%로 급락했고 올해도 90%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쌀 자급률 계산은 전년도 생산량을 기준으로 삼는다. 2011년 생산량은 422만4000t으로 나타나 냉해 피해가 심했던 1980년(355만t) 이후 31년만에 최저치다.
내년 쌀 자급률이 90%에 미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올해보다 더 낮아질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최근 연이은 태풍으로 인해 '백수 현상'이 심각해 올해 수확량이 지난해에 못 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백수 현상은 염분을 함유한 강풍으로 벼 이삭이 하얗게 말라죽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정부는 쌀 자급률이 100%에 미치지 못해도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쌀 재고가 95만t에 달하는데다 쌀 시장을 개방하지 않은데 따른 의무수입물량이 매년 34만~36만t 가량되기 때문에 수요량이 충분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되면 쌀 재고도 급격히 줄게 되고 국내 생산량과 의무수입물량을 더해도 쌀 수요량을 충족하지 못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