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상품시장 긴급점검] 유가, 중동 변수를 주목하라

입력 2012-10-10 10: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시리아·이란 등 중동 지정학적 불안 지속… 사우디, 증산 의지로 유가 안정 기여

중동 변수가 국제유가의 향방을 가를 전망이다.

현재 중동 상황은 유가 상승과 하락 재료가 혼재돼 있는 상황이다.

시리아 사태와 이란 핵개발을 둘러싼 미국과 유럽연합(EU)의 제재 등 중동의 지정학적 불안은 이어지고 있다.

터키 국경 마을에서 지난 3일(현지시간) 시리아에서 쏜 박격포탄이 날아와 5명의 민간인이 사망하고 10명이 부상을 입자 터키군은 즉각 반격 포격을 가했다.

터키 의회는 4일 시리아에 대한 군사작전을 승인했다.

시리아는 전 세계 원유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5%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란과 레바논의 무장단체인 헤즈볼라가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정권과 같은 시아파이기 때문에 터키와 시리아의 교전에 둘이 개입해 사태가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

이란은 서방국가의 제재로 리알화 가치가 지난달 24일 이후 40% 폭락하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최근 70%까지 치솟는 등 경제가 파탄 지경에 이르렀다.

일각에서는 이란의 반서방 정서가 고조돼 핵무기 개발을 더욱 촉진하고 결국 이스라엘의 선제 공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퍼지고 있다.

세계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가 증산 의지를 거듭 밝히고 있는 것은 유가 하락 재료로 작용할 전망이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알리 알-나이미 석유장관은 지난 4일 “국제유가가 지난 1분기에 우리가 생각해도 너무 치솟아 가격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낮추려고 노력했다”면서 “고유가 불안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석유 공급 부족은 없을 것이며 재고를 항상 적정 수준으로 유지해 추가 수요에 언제라도 대처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점을 다시 강조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국제유가가 치솟으면 글로벌 경제침체로 이어져 장기적으로 석유 수요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사우디는 지난 상반기에 하루 평균 994만 배럴의 원유를 생산해 올해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전 기록은 지난 1980년의 하루 990만 배럴이다.

전쟁에서 벗어난 이라크와 리비아의 석유 생산이 정상화된 것도 유가 안정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라크는 올 들어 하루 평균 300만 배럴 이상의 원유를 생산해 이란을 제치고 석유수출국기구(OPEC) 내 2위 산유국으로 떠올랐다.

리비아의 최근 원유 생산 규모는 하루 160만 배럴로 내전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애플, 미국으로 공장 이전할 것…수억 달러 미국 투자도”
  • 한화가 기다리고 있는 LCK컵 결승, 최종 승리 팀은 어디가 될까? [딥인더게임]
  • [투자전략] 이제는 금보다 은?…ETF로 투자해볼까
  • 애니메이션으로 돌아오는 퇴마록…이우혁 표 오컬트 판타지 [시네마천국]
  • "양산서 미나리 맛보세요"…남이섬ㆍ쁘띠 프랑스에선 마지막 겨울 파티 [주말N축제]
  • 점점 치열해지는 글로벌 빅테크 '양자' 경쟁
  • ‘무신사 장학생’ 데뷔 팝업…차세대 K패션 브랜드 ‘시선 집중’ [가보니]
  • ‘싱글몰트 위스키 대명사’ 글렌피딕 제대로 즐기는 방법은? [맛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2.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2,397,000
    • -0.04%
    • 이더리움
    • 4,079,000
    • +3.74%
    • 비트코인 캐시
    • 474,500
    • +1.61%
    • 리플
    • 3,807
    • +0.58%
    • 솔라나
    • 255,000
    • +2%
    • 에이다
    • 1,146
    • +1.51%
    • 이오스
    • 949
    • +3.49%
    • 트론
    • 348
    • -1.42%
    • 스텔라루멘
    • 493
    • +1.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200
    • +1.47%
    • 체인링크
    • 26,230
    • +1.75%
    • 샌드박스
    • 528
    • +1.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