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형 아파트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9·10대책 이후 소형 급매물은 실수요자 위주로 거래가 되고 있지만 중대형은 매수자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중대형은 대부분 고가인데다 집값 추가 하락 우려로 인해 선뜻 나서는 사람이 없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게다가 올해 말로 취득세 감면 연장이 종료되면 9억원 이상 주택은 현행 2~3%에서 4%로 오르게 돼 중대형 수요는 내년에 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가 지난 16일부터 22일까지 아파트 값을 조사한 결과 수도권 매매가 변동률은 -0.03%를 기록했다.
서울을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중구(-0.18%)가 가장 많이 떨어졌고 △송파구(-0.11%) △노원구(-0.09%) △성북구·서대문구(-0.08%) △관악구·동대문구(-0.04%) △강남구(-0.03%) △강동구(-0.02%) 등이 뒤를 이었다.
중구는 신당동 매매가가 하락했다. 부동산침체가 지속되면서 급매물의 가격이 한차례 더 내려가면서 시세도 조정됐다. 신당동 푸르지오 102㎡가 1000만원 내린 4억9000만~5억6000만원, 신당동 현대 105㎡가 1000만원 내린 3억4000만~4억원이다.
송파구는 대형 아파트의 하락폭이 크다. 매도자들이 가격을 낮춰 내놓고 있지만 매수세가 없다. 송파동 삼성래미안 161㎡가 2000만원 내린 8억~8억6000만원, 문정동 올림픽훼밀리 105A㎡가 1000만원 내린 6억5000만~7억원이다.
노원구는 중계동 일대가 내렸다.
서울 외 수도권에서는 신도시가 -0.08%, 경기도 -0.02%, 인천은 보합을 기록했다.
지방 5대광역시 매매가 변동률은 0.01%였다.
반면 전세가격은 여전히 상승세를 나타냈다.
서울 전세가 변동률은 0.02%를 기록했다. 서초구(0.10%)가 가장 많이 올랐고 △강남구(0.10%) △성북구(0.04%) △강서구(0.03%) △중구(0.02%) 등이 상승했다.
서울 외 수도권에서는 경기가 0.01%, 신도시 0.03%, 인천은 보합으로 조사됐다.
지방 전세가 변동률은 △대구(0.08%) △대전(0.03%) △경북(0.10%) △충남(0.07%)이 올랐으며 기타 지역은 보합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