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상민의 골프區 경제洞] 골프장의 ‘한해 농사’ 준비

입력 2013-01-08 10: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해 농사를 마친 골프장들이 ‘농한기’에 들어갔다. 한국골프장경영협회 회원사 265개 골프장 중 46개 골프장은 일정기간 휴장 계획이다. 짧게는 일주일, 길게는 3개월 이상 쉬는 곳도 있다.

휴장기간에는 임직원들이 교대로 휴가를 다녀온다. 시즌 중 반납했던 주말·휴일을 몰아서 쉬는 셈이다. 모처럼 한숨을 돌리며 주변을 돌아볼 수 있는 시기다.

그러나 골프장의 한해 ‘농사’는 겨울철 비시즌에 달려 있다. 물론 겨울은 내장객이 크게 준다. 휴장하지 않더라도 한파가 몰아치거나 폭설이라도 내리면 개점휴업이다. 당연히 매출은 기대할 수 없다. 시즌 중 벌어들인 돈으로 ‘농한기’를 버텨야 하는 처지다.

대부분 골프장은 동절기 전에 한해를 마무리하는 의미에서 회원들을 초청해 골프대회를 개최한다. 대회 규모는 골프장마다 차이가 있지만 제법 성대하게 치른다. 이 대회를 끝으로 골프장은 동계관리나 휴장에 들어간다.

코스 리노베이션과 시설물 보수·점검을 위해서다. 골프장으로서는 그동안 북적이는 고객으로 인해 미뤄두었던 일을 처리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우선 폭설과 잔디동해 방지를 위해 제설장비를 챙겨야 한다. 수목에는 동해방지 피복과 잠복소(해충 피난소)를 설치하고, 페이어웨 잔디는 25㎜ 이하로 깎지 않는다. 푸른 잔디가 올라오는 5월 초까지는 어떻게든 버텨야 하기 때문이다. 답압(잔디를 밟는 일)이 많은 티잉그라운드와 그린 주변에는 이엉을 깔아 추위를 견딜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기간을 활용해 임직원 교육과 워크숍·세미나를 개최하는 골프장도 있다. 또 타 지역 골프장과의 정보교류와 벤치마킹을 하거나 해외 골프장과 자매결연을 체결하기도 한다.

어떤 골프장은 전 직원과 캐디들이 모두 모여 집체교육을 실시하기도 한다. 경영진은 ‘1년 농사’를 면밀히 분석·계획해야 한다. 특히 최근에는 골프장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경영진의 고민은 이루 말할 수 없다.

각종 마케팅 계획도 이 시기에 입안된다. 내장객 유치와 변화된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요금정책의 대수술이 필요하다. 그에 따른 전산시스템과 인력조정도 뒤따라야 한다.

이만하면 “골프장 ‘1년 농사’는 동절기에 결정된다”라는 말이 결코 과장은 아님을 알 수 있다. 골프장의 동절기를 운동선수에 비유하면 동계훈련이다. 운동선수는 동계훈련 성과에 따라 한 시즌 성적이 좌우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동절기에 거듭나려는 의식을 가진 골프장은 그리 많지 않은 듯하다. ‘휴장=휴식·휴가’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물론 휴식도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의 처절한 생존경쟁에서 살아남는 일이 더 중요하다.

지난해 골프계 이슈 중 하나는 ‘회원제 골프장의 개별소비세(이하 개소세) 감면’이었다. 그러나 회원제 골프장과 퍼블릭 골프장은 이견만 확인했다. 결국 개소세 감면은 불발됐다. 문제는 양 측 모두 자구노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집단이기주의적인 의견만 내세웠다는 점이다.

다시 원점이다. 운동선수들은 동계훈련을 통해 옥석이 가려진다. 동절기를 잘 보낸 운동선수는 반드시 좋은 성적이 뒤따른다. 골프장도 마찬가지다. 스스로 혹독한 겨울을 보낸 골프장은 내장객이 먼저 알아본다. 명문은 그렇게 탄생하는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이베이, 3월부터 K셀러에 반품·환불비 지원 ‘리퍼제도’ 시행
  • 공차, 흑당에 대만 디저트 ‘또우화’ 퐁당…“달콤·부드러움 2배” [맛보니]
  • [유하영의 금융TMI] 가계대출 관리, 양보다 질이 중요한 이유는?
  • 대통령실·與 “탄핵 집회 尹부부 딥페이크 영상...법적대응”
  • “성찰의 시간 가졌다”...한동훈, ‘별의 순간’ 올까
  • 매력 잃어가는 ‘M7’…올해 상승률 1% 그쳐
  • '나는 솔로' 11기 영철, 특별한 인증 사진 '눈길'…"文과 무슨 사이?"
  • 떠난 하늘이와 우려의 목소리…우울증은 죄가 없다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2.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400,000
    • -0.62%
    • 이더리움
    • 4,037,000
    • -0.59%
    • 비트코인 캐시
    • 494,900
    • -1.61%
    • 리플
    • 4,149
    • +0.48%
    • 솔라나
    • 284,800
    • -2.53%
    • 에이다
    • 1,166
    • -1.1%
    • 이오스
    • 948
    • -2.77%
    • 트론
    • 367
    • +2.8%
    • 스텔라루멘
    • 521
    • -0.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750
    • +0.84%
    • 체인링크
    • 28,370
    • -0.35%
    • 샌드박스
    • 592
    • -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