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4/04/20140429102142_443455_500_233.jpg)
국내 기업들이 체감경기가 소폭 증가해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29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5월 종합경기 전망치는 101.7을 기록했다. 지난달 99.5를 기록해 기준치 100을 하회했던 것과는 소폭 개선됐다.
이는 최근 원-달러 환율 하락, 중국 경기 둔화 우려 속에서도 수출 호조에 따른 무역수지 흑자 지속, 1분기 경기 회복세 등이 반영된 것으로 전경련은 분석됐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내수(103.8), 수출(101.0)은 긍정적으로, 투자(99.4), 자금사정(98.5), 재고(103.5), 고용(97.5), 채산성(99.6)은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재고는 100 이상일 때 재고과잉을 의미해 부정적인 것으로 본다.
반면, 기업경기실사지수 4월 실적치는 95.8을 기록해 기준선 100을 하회했다. 부문별로 보면 내수(102.9)를 제외한 수출(97.9), 투자(97.3), 자금사정(99.0), 재고(104.8), 고용(96.9), 채산성(94.4)에서 모두 부진했다.
김용옥 전경련 경제정책팀장은 “무역수지, 국내총생산 등 국내 거시경제 지표가 개선세를 이어감에 따라 기업의 경기전망 또한 완만하게 개선되고 있다”며 “환율 변동과 중국의 경기 동향에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세월호 사고의 영향으로 내수 위축이 우려되는 만큼, 내수활성화와 규제개혁 정책이 차질 없이 추진되어 경기 회복의 모멘텀을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