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은행 부실채권 규모 26조6000억 … 소폭 상승

입력 2014-05-13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1분기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규모가 26조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13일 발표한 올해 1분기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1.81%로 지난해 말 대비 0.02%포인트 상승했다. 부실채권 규모는 26조6000억원으로 8000억원 증가했다.

부실채권이 늘어난 것은 1분기 발생한 신규 부실 규모(5조2000억원)가 부실채권 정리규모(4조3000억원)를 웃돈데 따른 것이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여신 부실채권 비율은 2.38%로 지난해 말보다 0.01%포인트 하락했다. 대기업(2.66%)이 0.11%포인트 줄어든 반면 중소기업(2.16%)은 0.06%포인트 상승했다.

가계여신 부실채권 비율(0.65%)은 지난해 말보다 0.05%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부실채권 비율(0.57%)은 지난해 말(0.56%)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으며, 신용대출 등의 부실채권 비율(0.82%)은 0.13%포인트 상승했다. 이밖에 신용카드채권 부실채권 비율(1.42%)은 지난해 말보다 0.08%포인트 올랐다.

올해 1분기 중 신규발생 부실채권은 5조2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3조5000억원 줄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4000억원 감소했다.

신규발생 부실채권은 기업여신 신규부실이 대부분(76.9%)을 차지했다. 1분기 기업여신 신규부실은 4조원으로 전 분기보다 3조5000억원 감소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각각 2조원, 1조5000억원 줄었다. 이밖에 가계여신 신규부실은 1조원으로 전 분기 대비 1000억원 줄었다.

올해 1분기 중 부실채권 정리규모는 4조3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4조4000억원 감소했다. 다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6000억원 증가했다. 정리방법별로는 대손상각(1조3000억원), 담보처분에 의한 회수(1조2000억원), 출자전환 등 기타(7000억원), 매각(6000억원), 여신정상화(6000억원) 순이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1분기 부실채권 비율이 지난해 말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지속적인 기업구조조정 및 부실채권 정리 효과 등으로 증가세가 둔화됐다”면서 “다만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양적완화 축소, 중국 성장세 둔화 및 국내 부동산 경기회복 지연 등 대내외적으로 불확실 요인이 상존함에 따라 엄정한 부실채권 관리를 통해 은행 건전성을 제고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안정적 은행 경영기반을 확보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법사ㆍ○○아씨 넘쳐나는데…요즘 '무당집', 왜 예약이 힘들까? [이슈크래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TV만 틀면 나온다"… '다작의 아이콘' 전현무가 사는 '아이파크 삼성'은 [왁자집껄]
  • 단독 “판사 여기 숨어 있을 거 같은데”…‘서부지법 사태’ 공소장 보니
  • '국가대표' 꾸려 AI 모델 개발 추진…"중·소·대기업 상관없이 공모" [종합]
  • 트럼프, 관세 시간표 앞당기고 목재도 추가…“전략비축유 빨리 채울 것”
  • 국정 1·2인자 대면 무산…韓 “국무회의, 흠결 있지만 판단은 사법부가 해야”
  • 창업 도전 해볼까…카페 가맹점 평균매출액 1위는?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932,000
    • +0.69%
    • 이더리움
    • 4,055,000
    • -0.07%
    • 비트코인 캐시
    • 478,300
    • +0.23%
    • 리플
    • 3,999
    • +4.41%
    • 솔라나
    • 254,800
    • +0.55%
    • 에이다
    • 1,165
    • +2.37%
    • 이오스
    • 947
    • +2.49%
    • 트론
    • 356
    • -2.2%
    • 스텔라루멘
    • 505
    • +1.8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750
    • +0.18%
    • 체인링크
    • 26,880
    • +0.07%
    • 샌드박스
    • 546
    • +0.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