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상과학영화(SF) 영화 속에만 등장했던 인간처럼 생각하는 인공지능을 마침내 현실에서 만나볼 수 있게 됐다.
영국 레딩대는 과학적ㆍ철학적 의미에서 인간처럼 생각하는 인공지능의 판별 기준인 ‘튜링 테스트’를 통과한 첫 사례가 나왔다고 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영국 왕립학회(로열 소사이어티)에서 열린 ‘튜링 테스트 2014’ 행사에서 ‘유진 구스트만’이라는 슈퍼컴퓨터에서 돌아가는 ‘유진’ 프로그램이 이 기준을 통과했다.
튜링 테스트는 기계가 인간과 얼마나 비슷하게 대화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기계의 사고 능력’를 판별하는 것이다. 사람과 컴퓨터가 대화를 나누고 있는데, 대화 상대편이 컴퓨터인지 진짜 인간인지 대화 당사자인 사람이 구분할 수 없다면 그 컴퓨터는 진정한 의미에서 “생각하는 능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유진은 블라디미르 베셀로프, 유진 뎀첸코, 세르게이 울라센 등이 개발한 프로그램이다. 2001년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크에서 첫 버전이 나왔다.
이번 행사에서 유진은 우크라이나에 사는 13세 소년인 것처럼 사용자들과 대화를 나눴다. 5분 길이의 텍스트 대화를 통해 심사위원 중 33% 이상에게 ‘유진은 진짜 인간’이라는 확신을 줬다는 것이 이번 행사 주최 측의 설명이다.
이번 행사는 ‘튜링 테스트’를 개발한 앨런 튜링(1912∼1954) 별세 6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열렸다.
영국 전산학자 앨런 튜링은 ‘과연 기계가 생각할 줄 아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한 기준으로 기계의 사고 능력을 판별하는 ‘튜링 테스트’를 고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