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벤 치약 유해성 논란 김재원 식약처
![](https://img.etoday.co.kr/pto_db/2014/10/20141005113957_517738_450_245.jpg)
국내에서 유통되는 치약 10개 중 6개 이상에서 파라벤 성분이 함유됐다는 주장이 나온 가운데 파라벤의 유해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재원 의원은 식약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통해 의약외품으로 허가받은 2050개의 치약 중 ‘파라벤’이 함유된 치약은 1302개(63.5%), ‘트리클로산’이 함유된 치약은 63개(3.1%)라고 밝혔다.
파라벤과 트리클로산은 암 발병률을 높이거나 각종 호르몬 분비를 교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면서 인체 유해 논란이 일고 있는 물질이다.
파라벤은 특히 여성 호르몬의 구조와 비슷해서 유방암 등을 일으키는 성분으로 보고되고 있다. 남성의 경우에는 정자수의 감소와 고환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파라벤은 남성의 미성숙뿐 아니라 여성의 성조숙증을 유발 가능성이 높으며 성장기 어린이에게 매우 민감하게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식약처는 보도자료를 통해 시판되고 있는 치약 60% 이상이 국내외 연구서 인체유해성분 판정을 받은 '파라벤'과 '트리클로산'이 함유된 제품들이라는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재원 새누리당 의원의 국정감사 자료와 관련, 식약처 측 자료 제출자의 실수가 있었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현재 국내 유통 중인 치약은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다"며 "치약의 보존제로 사용되고 있는 파라벤의 경우, 함량기준을 0.2% 이하로 관리하고 있으며 이 기준은 EU, 일본(0.4% 이하), 미국(기준없음) 등과 비교해 국제적으로 가장 엄격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