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가 중국 저장지리홀딩그룹(지리그룹)과 전기차 배터리, 차량용 전장 부품 등 친환경 모빌리티 분야 협력 관계를 구축한다. SK의 사업 개발 역량과 지리그룹이 갖춘 모빌리티 전문성을 결합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SK㈜는 11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전략적 사업 협력을 위한 협약(Framework Agreement)’을 체결했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은 현지시간 4일 주시애틀 대한민국 총영사관(총영사관)과 우리 스타트업의 미 북서부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2024 그린테크 비즈니스 콘퍼런스'를 공동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콘퍼런스는 5월,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발표한 ‘중소벤처기업 글로벌화 지원 대책’의 후속조치 일환으로, 재외공관과 협업해 우수 중소벤처
롯데케미칼과 롯데정밀화학은 23일부터 26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차이나플라스 2024'에 참가한다고 19일 밝혔다.
차이나플라스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국제 플라스틱 및 고무산업 박람회다. 글로벌 화학사들을 비롯해 전 세계 4000여 개 기업이 참여한다.
롯데케미칼과 롯데정밀화학은 '시드 포 투모로우(SEED FOR TOMORROW)'란 주제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서울 구로구에 있는 중진공 글로벌창업사관학교에서 시애틀경제개발공사와 'K-스타트업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시애틀경제개발공사(GSP, Greater Seattle Partners)는 미국 워싱턴 주 시애틀 광역지역 경제개발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 민관 지원기관이다. 아마존·보잉 등 32개 글로벌 기업, 지방정부,
SK그룹이 베트남과 신재생에너지, 자원 순환 사업 등 ‘그린 비즈니스’ 협력을 강화한다.
29일 SK그룹에 따르면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27~28일 이틀간 베트남 하노이를 방문해 팜 민 찐 총리, 브엉 딘 후에 국회의장 등 정부 고위 인사와 만나 그린 비즈니스 협력을 논의했다.
국가혁신센터(NIC) 개관식과 국가수소서밋(National Hydrog
대한상의 SGI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산업역동성’ 비교수도권과 비교해 비수도권 산업역동성 떨어져산업 패러다임 전환기에 맞춰 글로벌 기업 유치 필요
지역 불균형 성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업·기술 패러다임 전환에 맞춰 지역별 특화기업을 성장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23일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SK이노베이션의 자원개발 자회사인 SK어스온이 독립법인 출범 후 2년간의 성과를 돌아봤다. 석유개발(Upstream)과 그린(Green) 사업의 시너지를 높이기 위한 전략방향도 논의했다.
SK어스온은 19일부터 20일까지 이틀 간 서울시 광진구 워커힐 아카디아(SK연수원)에서 ‘하반기 전략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명성 SK어스온 사장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환경 관점에서 여겨지던 ‘탄소 제로’가 SK그룹의 핵심 사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SK는 지난해 ‘2030년 기준 전 세계 탄소 감축 목표량의 1%(2억 톤) 줄이겠다’고 공표한 데 이어 폐플라스틱·배터리 재활용, 그린·재생에너지 사업, 탄소포집(CCUS) 등 다양한 환경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최태원 SK 회장은 3월 유럽
이종혁 SK지오센트릭 그린사업개발담당 부사장은 “순환경제 활성화를 통해 기술 개발과 일자리 고용 등 성장이 예상된다”며 “순환경제를 이뤄가기 위해 기업들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부사장은 3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 기후-에너지 회의(CESS) 2023'에 참석해 “(순환경제에 있어) 기업들은 앞으로 성장할 수 있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세계 최대 그린에너지 자산운용사 중 하나인 CIP(코펜하겐 인프라스트럭쳐 파트너스)와 손잡고 포항 해상풍력 및 그린비즈니스 사업 협력을 강화한다고 27일 밝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전날 정탁 부회장, 톨슨 스멧(Torsten Lodberg Smed) CIP 부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CIP와 ‘포항 해상풍력 및 그린비즈니스 협력을 위한
SK그룹은 올여름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대규모 예술축제와 한국문화 행사를 후원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SK그룹 5개 멤버사(SK E&S, SKC, SK온, SK주식회사C&C, SK에코엔지니어링)는 다음달 14일부터 8월 12일까지 미국 뉴욕시 링컨 센터가 주최하는 ‘썸머 포 더 시티(Lincoln Center's Summer for the City)
상반기 전략 워크숍 개최올해 중점 추진과제 공유
“올해는 파이낸셜 스토리 실행에 따른 구체적인 성과를 창출 해야 한다. 석유개발(Upstream)과 그린(Green)사업에서 가시화된 성과를 통해 ‘2030 탄소중립기업(Carbon Neutral Company)’이라는 미래를 만들어 나가자.”
명성 SK어스온 사장은 전날인 10일 서울 중구 IGM 세계
SK이노베이션이 새로운 60년의 시작과 올 타임 넷제로(All Time Net Zero) 실행 원년을 맞아 넷제로 달성 의지를 담은 새 브랜드 캠페인을 선보인다.
SK이노베이션은 SK이노베이션 계열의 탄소 감축 비전과 실행 의지를 표현한 2023년 브랜드 캠페인 ‘그린픽쳐(Green Picture)’를 전개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시리즈로
한미 경제사절단 미국 방문…주요 경제협력 행사 참석SK그룹, 신규 협약 및 새로운 글로벌 협력의 물꼬 마련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한미정상회담 기간 경제사절단으로 미국을 방문하고, 투자신고식·첨단산업 포럼 등 한·미 간 경제외교에 적극 나섰다.
1일 SK그룹에 따르면,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미국 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투자신고식에는 SK
SK이노베이션은 7일 2022년 4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올해는 총 10조 원 규모의 설비투자(CAPEX) 계획을 수립했다”며 “세부적으로 보면 배터리 사업에서 신규 캐파(생산능력) 투자 확보 등을 위해 총 7조 원 규모의 투자 지출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배터리 사업의 경상 투자와 전략 투자를 합쳐 약 3조 원 규모의 투자를 계획하고
KAIST(한국과학기술원)가 13~14일 대전 본원에서 ‘2022 KAIST 스타트업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12일 KAIST에 따르면 올해로 9회째인 이번 페스티벌은 KAIST 창업원의 연간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첫날인 13일에는 한 해 동안의 창업 성과를 소개하는 행사로 꾸려진다.
오전에는 KAIST
한국과 베트남 수교 3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열린 ‘한국-베트남 비즈니스 포럼’에서 양국 기업인들은 디지털·그린 에너지 협력을 강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국가주석 국빈 방한을 계기로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한 한-베트남 비즈니스포럼이 6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개최됐다. 이날 행사에는 응우옌 주석과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룩셈부르크의 국가 혁신기관 룩스이노베이션의 마리오 그로츠 회장과 카이스트 GCC(글로벌기술사업화센터) 최문기 센터장이 28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기술분야의 한-룩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간의 경제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날 체결한 양해각서는 △정보 교류 활성화 △컨퍼런스, 워크샵, 포럼 등의 공동 행사 개최를 통해 한국 중소기업
SK어스온이 전 세계에서 환경보호와 함께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를 응원하는 활동에 나섰다.
SK어스온은 본ㆍ지사 전 직원 약 180명이 부산엑스포 유치를 기원하며 플로깅 활동인 산해진미 행사를 했다고 25일 밝혔다.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그린 비즈니스 추구하겠다는 사명 ‘어스온(Earthon)’ 의미를 살려 환경을 보호하면서 부산엑
최재원 SK온 수석부회장이 출범 1주년을 맞아 2030년 세계 1위 기업을 달성하자는 목표를 밝혔다.
최 수석부회장은 30일 직원들에게 보낸 CEO 메시지를 통해 “SK온이라는 이름으로 첫발을 내디딘 지도 1년이 지났다”며 “어려운 대내외 환경 속에서도 굳건하게 본인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주신 구성원의 노고와 헌신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