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이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대(對)인도 수출 역량을 높이기 위해 18일 '인도 기계류 인증 설명회'를 열었다.
올해 8월부터 금속절단 기계와 그 조립품·부품 등이 인도 표준인증 대상에 적용돼 인도 수출 기업은 인증 요건에 맞는 사전 준비가 필요, 인도 수출에 고려할 모든 사항을 안내했다.
2024년 4분기·연간 지역경제동향 작년 소비 2.2%↓…울산 -6.6%·경기 -5.7%소매판매 11분기째 감소…"계엄도 일부 영향"
역대 처음으로 지난해 전국 17개 모든 시도에서 연간 소매판매가 전년대비 감소했다. 고물가·고금리에 12·3 비상계엄까지 맞물린 여파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4년 4분기 및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2024년 4분기·연간 기업특성별 무역통계수출액 6837억 달러…전년比 8.1%↑자본재 17.9% 증가…반도체·정보기기 등↑
지난해 반도체 수출 등이 강세를 보이면서 국내 수출액 상위 10대 기업 비중이 6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4년 4분기 및 연간 기업특성별 무역통계(잠정)'에 따르면 2024년 수출액은 6837억
관세청, 2월 1~10일 수출입현황 발표1~10일 수출 0.8% 증가…일평균 수출은 6.4% 줄어산업부 "2월 수출 플러스와 흑자 전환 기대…트럼프 관세 조치 업계와 공조"
지난달 설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로 16개월 만에 수출 플러스 행진이 멈춘 가운데 이달 시작은 일단 증가세로 문을 열었다. 정부는 이달 전체로는 수출 플러스와 무역수지 흑자 전환을
KDI, '경제동향 2월호 '발표…통상 환경 악화, 정국 불안 지속 영향"반도체 호조세로 생산 증가 견인...건설투자 중심으로 내수 부진"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통상 환경이 악화하고,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내 정치적 불안이 이어지면서 경기 하방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진단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한은, 6일 '2024년 12월 국제수지(잠정)' 발표 연간 전망치 900억 달러 웃돌아…2015년 이후 최대
작년 연간 경상수지가 9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의 연간 전망치 900억 달러도 웃돌았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2024년 12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작년 12월 경상수지는 123억7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전
통계청 '202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동향'작년 전산업생산 1.7%↑·설비투자 4.1%↑...소매판매 2.2%↓작년 12월 전산업생산 전월比 2.3% 증가...소매판매는 0.6% 감소
지난해 우리나라 전산업생산이 반도체 수출 회복 등 영향으로 많이 증가하면서 호조세를 보였다. 그러나 재화의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2022년 이후 3년 연
통계청 '202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동향'지난해 전산업생산 1.7%·설비투자 4.1% 증가소매판매는 2003년 이후 21년 만에 최대 폭 감소지난해 12월 산업생산 2.3%↑·소매판매 0.6%↓
지난해 우리나라 전산업생산이 반도체 수출 회복 등 영향으로 1년 전보다 호조세를 보였다. 그러나 재화의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2022년 이후
화장품, 수출 단일 품목 중 최초 60억 달러 돌파미국, 중국 제치고 최대 수출국 등극
9만5000여 중소기업이 지난해 1151억 달러를 수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이 수출 단일 품목 중 최초 60억 달러를 돌파했고 미국은 중국을 제치고 최대 수출국으로 등극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3일 이러한 내용의 ‘2024년 중소기업 수출동향(잠정치)’을 발표했
일본의 지난해 수출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무역 적자 폭이 40% 이상 축소됐다.
23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일본 재무부는 이날 2024년 무역통계 속보에서 일본의 지난해 수출액이 전년 대비 6.2% 증가한 107조913억 엔(약 984조4582억 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뺀 무역수지는 5조3325억 엔
한은, 23일 ‘2024년 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발표4분기 GDP 전기대비 0.1% 증가…11월 전망치 0.5% 크게 밑돌아연간 GDP 전년대비 2.0% 성장…전망치 2.2% 하회 “서비스업 증가폭 축소…건설업 감소 전환”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당초 전망치를 밑돌았다. 민간소비, 서비스업 증가폭이 축소됐다. 정치적 불확실성으
1월 1~20일 수출액이 조업일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5.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설 연휴와 임시 공휴일 등 영향으로 이달 수출이 일시적으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수출액은 316억15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17억1000만 달러) 감소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
중소기업중앙회는 20일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이 ‘제23차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 대회장을 맡게 됐다고 밝혔다.
세계한인비즈니스 대회는 전 세계 한인 경제인들이 교류하며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글로벌 경제행사다. 올해는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Gas South Convention Center)에서 4월 17일부터 20일까지
지난해에만 인공지능(AI)과 가상현실(VR)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한 29개 제품이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4년도에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23개(79%), ‘기구·기계류’ 5개(17%), ‘체외진단의료기기’ 1개(4%) 등 총 29개 혁신의료기기를 지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세부적으로 △컴퓨터단층촬영(CT) 영상을 기반으로
트럼프 1기 때도 보복 관세 부과한 바 있어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1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차기 행정부에 보복 관세를 예고했다.
MSNBC방송에서 트뤼도 총리는 트럼프 당선인이 캐나다산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데 대해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대응 관세를 부과할 준비가 돼 있다”며 “미국 기업에도 큰 손실이
朴탄핵 때 CCSI 3개월간 9.4p↓…尹계엄 땐 12.3p↓"정국 불안, 금융시스템 불안으로는 이어지지 않아""정치 등 불확실성에 경제심리 악화…경기하방 위험"
9년 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정국보다 작년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탄핵 국면의 경제심리 지표가 크게 위축됐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미국 신정부 통상 정책과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한은, 8일 ‘2024년 11월 국제수지(잠정)’ 발표상품수지, 97억5000만 달러…수출 증가세 둔화 속 수입 감소 영향서비스수지, 20억9000만 달러 적자…적자폭 확대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흑자를 기록했으나 증가폭은 축소됐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2024년 11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11월 경상수지는 93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전월
11월 산업활동동향생산 0.4%↓ 설비투자 1.6%↓…소비 0.4%↑
지난달 생산·투자가 감소세를 이어갔지만 소비는 3개월 만에 증가 전환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1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2.6으로 전월대비 0.4% 감소했다.
전산업생산은 증가세로 전환한 8월(1.1%) 이후 9월(-0.
관세청, 12월 1~20일 수출입 현황 발표반도체·철강·자동차부품 등 호조무역수지 13억 달러 흑자…올해 누적 466억 달러 달해
14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 중인 한국 수출이 이달 20일까지 성적이 증가세를 기록하며 15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 달성의 기대감을 키웠다. 최근 탄핵 정국 등 극도로 불안한 국내 정치 상황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2월호'朴탄핵' 당시 표현 참고…내수 긍정언급 배제
정부가 최근 한국 경제에 대해 "경제심리 위축 등 하방위험 증가 우려가 있다"고 진단했다. 최근 계엄·대통령 탄핵 정국 진입 후 정부의 첫 경제 분석으로, 지난달까지 정부가 언급한 '완만한 경기회복세' 등의 내수 긍정 표현은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나온 '하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