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동제약그룹의 일동바이오사이언스가 자사 기능성 원료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해 ‘NON-GMO(논-지엠오)’ 인증을 획득했다.
25일 일동제약그룹에 따르면 일동바이오사이언스는 최근 북미 지역에서 가장 공신력 있는 검증 단체인 ‘논-지엠오 프로젝트(NON-GMO PROJECT)’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20종에 대한 NON-GMO 인증을 받았다.
NON-
일동제약그룹의 건강기능식품 사업 계열사인 일동바이오사이언스가 ‘무역의 날’ 기념 포상 행사에서 ‘300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고 5일 밝혔다.
‘수출의 탑’은 한국무역협회와 산업통상자원부가 해외 시장 개척 및 수출 확대, 일자리 창출 등에 기여한 기업이나 단체 등에 대해 그 공로를 인정해 수여하는 상이다.
일동바이오사이언스는 2022년 ‘100만
hy가 건강에 대한 높아진 관심을 바탕으로 건강기능식품 제품군을 확장하고 있다.
hy는 ‘케어온 관절 토탈케어’(관절 토탈케어)가 누적 판매량 300만 병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9월 출시된 관절 토탈케어는 복합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다. 10월 기준 약 5만여 명의 고객이 정기구독 서비스를 통해 제품을 이용 중이다. 이는 출시 당시와 비교해 약
hy의 간(肝) 건강 발효유 '쿠퍼스'의 누적 판매량이 10억 개를 돌파했다.
쿠퍼스는 2004년 처음 출시된 제품이다. 활력 발효유를 모티브로 3년간 50억 원을 투자해 개발에 성공했다. 이후 간 건강 발효유 ‘헛개나무 프로젝트 쿠퍼스’로 리뉴얼하며 ‘간 건강 기능성 발효유’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개척했다.
2013년에는 ‘쿠퍼스 프리미엄’을 선보였
hy는 간(肝) 건강 발효유 '쿠퍼스' 누적 판매량이 10억 개를 돌파했다고 10일 밝혔다.
쿠퍼스는 2004년 처음 출시된 제품이다. 활력 발효유를 모티브로 3년간 50억 원을 투자해 개발에 성공했다. 이후 간 건강 발효유 ‘헛개나무 프로젝트 쿠퍼스’로 리뉴얼하며 ‘간 건강 기능성 발효유’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개척했다.
2013년에는 ‘쿠퍼스 프
일동제약그룹의 일동바이오사이언스는 인도네시아 식품 원료 박람회(Food Ingredients Asia Indonesia)에 참가해 유산균 등 기능성 소재를 알리고 사업 기회를 모색했다고 9일 밝혔다.
이달 4일부터 6일까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60개국·400여 업체가 참가해 식품과 음료, 건강기능식품 등과 관련한 원료 및 완제품,
유한양행은 운동 수행능력과 장 건강을 동시에 관리해주는 이중 기능성 건강기능식품 프로바이오틱스 ‘포켓부스터’를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포켓부스터’는 국내 최초 운동수행능력 향상 유산균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기능성 인정을 받은 개별인정형 원료 락티플랜티바실러스 플란타룸(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TWK10를 사용한 프로
디엑스앤브이엑스(DXVX)는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소가 국내 학회를 통해 면역에 관여하는 프로바이오틱스 발굴 등에 관한 연구 성과를 선보였다고 5일 밝혔다.
회사는 최근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에서 인체 유래물질 등에서 발굴한 프로바이오틱스의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해당 프로바이오틱스는 인체의 면역조절과 면역증강에 유효한 프로바이오틱스로, 염증 등 과민면역 상
일동제약그룹의 건강기능식품 사업 회사인 일동바이오사이언스가 자사의 기능성 포스트바이오틱스 ‘RHT3201’을 태국 식품의약국(Thai FDA) 식품 원료로 등록했다고 11일 밝혔다.
‘RHT3201’은 유산균의 일종인 ‘락티카제이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사균체 형태로 가공한 포스트바이오틱스로, 피부 면역과 관련한 기능성 제품의 원료 등으로
일동제약그룹의 건강기능식품 사업 계열사인 일동바이오사이언스가 자사의 프로바이오틱스 원료에 대해 미국에서 ‘자체 검증 GRAS’를 취득했다고 19일 밝혔다.
자체 검증 GRAS(Self-Affirmed Generally Recognized As Safe)란, 미국 시장에 진입하는 신규 식품 원료의 안전성 등을 확인하는 제도다. 적합성 여부는 미국 식품의약
일동제약그룹의 건강기능식품 사업 계열사인 일동바이오사이언스가 ‘2024 비타푸드 인도(Vitafoods India 2024)’에 참가해 글로벌 진출 확대를 모색했다고 19일 밝혔다.
올해 ‘2024 비타푸드 인도’ 행사는 건강기능식품을 비롯한 헬스케어 분야의 다양한 글로벌 업체들이 참가한 가운데 13일(현지시간)부터 15일까지 인도 뭄바이에서 개최됐다.
1990년대 1세대 바이오벤처 기업 등장 이후 국내 바이오산업은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했다. 이에 힘입어 우리나라는 제약·바이오 강국 도약의 기틀을 다졌다. 글로벌 시장에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의 성과에 정부도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바이오·헬스 분야’를 꼽고 육성에 시동을 걸고 있다.
장기간 연구개발 노력 결실맺는 1세대 바이오기업
국내 바이오산업의 초석
일동그룹의 건강기능식품 회사 일동바이오사이언스는 무역의 날을 기념한 포상 행사에서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고 6일 밝혔다.
수출의 탑은 한국무역협회와 산업통상자원부가 해외 시장 개척 및 수출 확대, 일자리 창출 등에 기여한 기업이나 단체 등에 대하여 그 공로를 인정해 수여하는 상이다.
60회째를 맞은 이번 기념 행사에서 일동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해 ‘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기업 지아이바이옴은 대한레이저피부모발학회 제45차 추계 학술대회에서 이너 뷰티를 위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을 선보이고 항비만 신약 연구성과를 공개했다고 4일 밝혔다.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전날 열린 대한레이저피부모발학회는 미용성형 의료 분야의 국내 최대 규모 학회다. 2004년 창립 이후 현재 6000여 명의 의사
hy 프리미엄 프로바이오틱스 ‘MPRO4 2종(△장 집중케어 MPRO4 △장&피부 듀얼케어 MPRO4)’이 누적 판매량 2억 개를 돌파했다. 2019년 2월 출시 이후 4년 4개월 만이다. 하루 평균 13만 개 이상 팔린 셈이다. 누적 매출액 또한 4000억 원을 넘어섰다.
MPRO4는 hy 기술력을 집약한 장(腸) 건강 특화 제품이다. ‘M’은 마이크로
일동바이오사이언스는 중국 건강기능식품 박람회 ‘HNC 2023’(Healthplex Expo 2023·Natural & Nutraceutical Products China 2023)에 참가해 프로바이오틱스 원료 및 제품, 기술력 등을 홍보했다고 22일 밝혔다.
‘HNC 2023’은 △건강 식품 △보조 식품 △자연 약초 △기능성 원료 등 건강 관리 분야
헬스케어 기업 헤일리온이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센트룸을 통해 1500억 원 규모의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에 진출한다.
헤일리온은 31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다음달 5일 센트룸 프로바이오 멀티케어 3종(△센트룸 프로바이오 면역케어 △센트룸 프로바이오 슬림 케어 △센트룸 프로바이오 나이트 케어)
일동제약그룹의 계열 회사 일동바이오사이언스는 국제 건강기능식품 전시회 ‘2023년 비타푸드 인도’에 참가해 프로바이오틱스 원료 및 원천 기술 등을 선보였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는 올해 들어 처음 열리는 비타푸드 행사로, 16일과 17일까지 인도 뉴델리에 있는 프라가티 마이단(Pragati Maidan) 컨벤션 센터에서 건강기능식품 등 헬스케어
최근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개방형 혁신(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으로 유망 바이오 벤처기업들과의 협업을 이어 나가고 있다. 바이오 업계 투자가 경직된 시점에서 제약사는 유망기술 선점, 바이오벤처는 투자금을 확보할 수 있어 윈윈(win-win) 전략이라 평가받고 있다.
5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대형제약사를 중심으로 진행되던 오픈 이노베이션이 점차
유한양행(Yuhan)은 15일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연구개발기업 에이투젠(AtoGEN)의 지분을 인수해 1대 주주의 지위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계약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유한양행은 내년초 별도의 유상증자를 통해 추가 지분을 확보할 예정이다.
유한양행은 에이투젠 지분 인수를 계기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개발과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 사업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