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겹살에 소주 한잔’ 가볍게 즐기기 좋은 메뉴였지만 언제부턴지 부담스럽다. 소주는 한병에 5000원, 삼겹살은 1만5000원, 셋이서 먹으면 10만원이 넘어가기 일쑤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서울 음식점 삼겹살 평균가격(200g·환산 후)은 1만9429원이다. 2022년 1월 1만6983원과 비교하면 2년
돼지고기 도매가격이 한 달 새 20% 가까이 상승하며 올해 최고가를 경신했다.
14일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11일 기준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당 평균 6380원으로 올해 최고가를 경신했다. 한 달 전 ㎏당 평균 5356원이던 것과 비교해선 19.1% 올랐다. 이달 1일에는 ㎏당 평균 5697원이었는데, 열흘 만에 12.0% 증가했다.
소비자물가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지만 농축산물 등 먹거리 가격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재난지원금으로 소고기·돼지고기를 사 먹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금겹살'이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가운데서도 돼지고기 도매가는 오히려 떨어졌다. 소매가격은 올랐지만 유통업체들이 이윤을 줄이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소비
긴급재난지원금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효과로 돼지고기 가격이 1년 전과 비교해 큰 폭으로 올랐다. 하지만 사육마릿수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고, 코로나19 상황 변화에 따라 하반기에는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정부는 관측했다.
2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달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당 5115원으로 전월 4286원에서는 19.3%, 1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여파로 도살장과 육가공 시설이 대거 폐쇄되면서 식물을 기반으로 한 대체육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26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시장조사기관 닐슨의 조사 결과, 미국에서 4월 셋째 주 대체육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200% 폭증했고, 8주 동안엔 무려 265%나 늘었다.
# 충남에 사는 주부 김모 씨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2월 중순부터 외식을 하지 않고 있다. 대신 대부분의 끼니를 집에서 해 먹고 있는데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주로 고기를 사다 요리한다. 하지만 최근 마트에 갈 때마다 가장 상태가 좋은 부위는 다 나가고 없어 정육점을 여러 군데 돌아다니기 일쑤다.
코로나19 확산세가 한 달
'출근길'은 정치, 사회, 경제, 문화(연예·스포츠) 등 각 분야의 전일 주요 뉴스를 정리한 코너입니다. 출근길 5분만 투자하세요. 하루의 이슈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돼지고기 가격폭락…삼겹살 100g에 990원
아프리카돼지열병에 이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의 영향으로 돼지고기 소비가 격감했는데요. 12일 농협에 따르면 1월 이후 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여파로 세계육류 가격이 들썩이고 있다. 돼지 공급 부족 사태가 발생한 중국은 세계 돼지고기를 흡수하고 있다. 유럽과 남미의 수출 증가에도 가격이 오르는 이유다.
11일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지난달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69.7 포인트) 대비 1.7% 상승한 172.7포인트를 기록했다. 올해 5월 이후 하락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 이후 국내 돼지고기 가격이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대거 퍼지면서 가격이 급등한 중국과는 정반대 현상이다. 방역 당국의 조기 차단으로 돼지고기 공급에 큰 차질은 없었던 반면 불안 심리가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이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이달 1일 기준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
ASF(아프리카 돼지열병) 이후 소비심리 불안과 돼지고기 가격의 폭락으로 산업 존폐의 기로에 선 국내 한돈농가들이 국산 돼지고기 소비를 호소하고 나섰다.
한돈 농가 비영리단체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이하 한돈자조금)는 국산 돼지고기의 소비를 유도하고 안정적인 가격 형성을 위해 ‘한돈농가 응원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아프리키돼지열병(ASF)가 결국 돼지고기 소비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에 해가 없지만 불안 심리가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3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는 소비자 52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5.4%가 '돼지고기 소비를 지난해 10월보다 줄였다'고 답했다.
돼지고기 소비를 줄인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사태로 돼지고기 도매가격이 최저치를 보이고 있다.
26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전날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당 2716원을 기록해 24일 2832원보다 116원 떨어졌다. 지난달 17일 아프리카돼지열병 국내 첫 확진 이후 최저 기록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3911원보다는 30.6% 낮고, 지난달 평균 4971원보다는 43
아프리카돼지열병의 기세가 꺾이지 않으면서 정부가 일시이동중지(스탠드스틸)' 조치를 연장했다.
26일 농림축산식품부는 24일 정오를 기해 전국에 발령한 스탠드스틸 기한을 28일 정오까지 연장했다. 스탠드스틸 기간엔 돼지와 축산 관련 종사자의 이동이 금지되고, 돼지 관련 작업장의 차량ㆍ물품 이동도 통제된다. 방역 당국의 통제를 어기면 1년 이하 징역형이나
아프리카돼지열병의 기세가 꺾이지 않으면서 정부가 전국으로 '일시이동중지(스탠드스틸)' 조치를 확대했다.
정부는 24일 정오를 기해 26일 정오까지 48시간 동안 전국에 스탠드스틸을 발령했다. 스탠드스틸이 발령되면 모든 축산업자와 축산차량, 가축 등의 이동이 금지된다. 정부는 23일에도 오후 7시 30분을 기해 경기와 인천, 강원 지역에 48시간 스탠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하면서 급등했던 돼지고기 도매가격이 안정세를 되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전국 돼지고기 평균 도매가격은 20일 ㎏당 5017원으로 전날 (5828원)보다 13.9% 떨어졌다.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으로 전국 돼지 이동중지 명령이 내려진 17일 ㎏당 5838원으로 전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달 16일과 17일 경기도 파주와 연천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하 ASF) 의심축 신고가 접수된 이후 20일 오전 9시 현재까지 의심축 등에 대한 추가 신고는 없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ASF의 잠복기(4~19일)를 고려 시 최초 발생 후 3주간이 가장 중요한 시기로 방역관리에 철저를 기하겠다고 덧붙였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파주
경기도 파주에 이어 연천에서도 아프리카 돼지열병(이하 ASF)이 확진됨에 따라 정부가 18일 파주, 연천을 포함해 포천, 동두천, 김포, 철원 등 6개 시ㆍ군을 ASF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해당지역 밖으로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방역을 집중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7일 경기도 연천군 소재 돼지농장(사육규모 4700두)의 의심축 신고 건에
세계 최대 돼지고기 소비국인 중국이 아프리카돼지열병 충격을 완화하고자 육류 수입을 기록적으로 늘려가고 있다.
중국이 지난 5월 수입한 육류와 내장이 총 55만6276t으로 전년 동월 대비 45% 급증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중국 해관총서(세관) 집계를 인용해 보도했다. 올 들어 5월까지의 육류 수입도 총 22만 t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으로 우리손에프앤지가 최대 수혜를 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최성환 리서치알음 연구원은 3일 “국제 돼지고기 도매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추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9월부터 연말까지 급락하고 있다”며 “주요 원인은 국제 돼지고기 가격 하락으로 국내 돼지고기 수입량이 대폭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아프리카돼지열
돼지의 표정과 기침 소리로 질병을 진단하는 빅데이터, 돼지 체중에 맞춰 적정량의 사료를 배분하는 자동화 로봇. 최근 중국 정부와 거대 정보·기술(IT) 기업, 스타트업들이 돼지 농가에 첨단 기술을 도입하고자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8월 발병한 아프리카 돼지 콜레라의 후유증에 여전히 시달리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