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수도권 분양가상한제(분상제) 적용 단지 집값이 분양가 대비 크게 오르며 수요가 크게 늘었다. 분양가 폭등을 막고 주거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이나 오히려 투기 수요를 자극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래미안원펜타스’ 전용 84㎡는 지난해 4월 41억 원에 거래됐다. 분양가(21억6770
대통령 탄핵 정국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서울 주택시장에서는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아파트) 기조가 강해지고 있다. 2025년 공급 감소와 분양가 상승 우려가 맞물리면서 수요자들이 신축 청약에 몰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최근 청약 접수를 받은 서울 서초구 방배동 '아크로 리츠카운티' 1순위 청약
분양가 오름세가 지속되면서 수도권 '국민 평형'이 10억 원에 육박하고 있다. 분양가 우상향 추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내 집 마련을 위한 가격 부담이 커지다 보니 분양가에 따라 청약 성적도 크게 달라지는 모습이다.
28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에 따르면 9월 수도권 아파트 3.3㎡당 평균 분양가격은 2792
분양가 상승 흐름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금리 인하로 집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인식 확산이 맞물려 무주택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모습이다. 이에 올 수도권 분양시장에서 존재감을 뽐냈던 분양가 상한제 아파트의 인기가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6일 부동산R114 자료를 보면 올 1~9월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치솟고 있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주변 시세 대비 합리적인 가격으로 강남 입성이 가능해 수요자와 투자자 모두의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4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해(1~9월) 서울 강남 3구에서 공급된 총 5개 단지, 1065가구(일반공급) 청약에 총 27만3704명이 신청해 1
당첨되면 ‘로또’에 시장 투기판화낮은 분양가…건설사는 공급 ‘주저’도입 취지 못 살리고 부작용만 커
당첨만 되면 ‘20억 원’ 돈방석. 로또 복권 얘기가 아니라 청약시장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다.
지난 달 청약시장을 달군 반포 래미안 원펜타스 청약은 ‘20억 원 로또’라는 타이틀 아래 무려 10만 명이 청약에 나서며 성황을 이뤘다. 비슷한 시기 진행된
GS건설 컨소시엄(GS건설·금호건설)은 경기도 부천시 괴안동 부천괴안 공공주택지구 B2 블록에 들어서는 ‘부천아테라자이’를 다음 달 분양한다. 이 단지는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공공택지에서 선보이는 만큼 합리적인 분양가 책정이 기대된다.
부천아테라자이는 지하 2층~지상 20층 2개 동 총 200가구 규모다. △50㎡ A 111가구 △50㎡ B 19가구
서울 강남권 분양 단지의 청약 경쟁이 날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시세 대비 경쟁력 있는 분양가로 공급되면서 이른바 ‘로또 아파트’라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
20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를 살펴본 결과 올해 1~8월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에서 분양한 단지는 총 4곳으로, 일반공급 980가구 모집에 총
서울 아파트 가격이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신축 단지 공급 가뭄이 예상되면서 보류지 몸값이 높아지고 있다.
13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신반포15차(래미안 원펜타스) 재건축 조합은 보류지 3가구 매각을 공고했다. △59㎡(이하 전용면적) 35억 원 △107㎡ 58억 원 △155㎡ 80억 원으로 책정됐다. 당초 분양가는
이달부터 민간과 공공에서 청약 접수 물량이 대거 쏟아진다. 특히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에서 분양가 상한제로 공급되는 단지들은 강남 입성과 시세차익을 동시에 노릴 수 있어 수요자들이 크게 몰릴 것으로 전망된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청담동 '청담 르엘'은 이달 19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청약 일정을 시작한다.
청담 르엘
급등한 공사비로 수도권 아파트 분양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분양가를 앞세운 분양가상한제 적용 단지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일부 단지가 '옵션 장사'에 나서며 논란이 되고 있다. 고가의 옵션 비용을 부담하게 된 수분양자 사이 불만의 목소리가 높지만 업게에선 수익 보전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해명이 이어지고 있다.
29일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된 경기 남양주 다산신도시의 한 아파트에 웃돈을 붙여 전매를 알선한 부동산업자들에게 대법원이 무죄 취지의 파기환송을 결정했다.
1심과 2심에서 나온 유죄 결정을 다시 심리하라는 판단으로, 이들이 중개 알선한 것이 ‘증서’가 아니라 ‘건축물’에 해당해 구 공인중개사법을 위반하지 않았다는 취지다.
27일 대법원 제3부(재판장 오석준 대법
올해 수도권에서 청약 신청에 나선 1순위 청약자 10명 중 8명이 분양가상한제 아파트에 청약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 1월부터 현재(21일 기준)까지 수도권 민간분양 단지의 1순위 청약자 66만619명 중 약 78.4%(51만8279명)가 분양가상한제 아파트에 1순위 청약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도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분양되는 '청담르엘'의 일반분양 가격이 분양가 상한제 단지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다.
22일 분양업계에 따르면 청담르엘 분양가가 3.3㎡당 7209만 원으로 확정됐다.
이는 역대 분양가 상한제 최고 가격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펜타스'의 3.3㎡당 6736만 원을 뛰어 넘은 금액이다. 전용면적 84㎡로 환산 시 분양가는 약
GS건설은 금호건설과 함께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 불로동 484-3번지 일대에 들어서는 ‘검단아테라자이’를 분양한다.
검단아테라자이는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고 단지는 지하 2층~지상 최고 25층 6개 동, 총 709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전용면적별 가구 수는 △59㎡A 140가구 △59㎡B 23가구 △59㎡C 261가구 △59㎡D 22가구 △59㎡E 22가구
반도건설의 새로운 프리미엄 주거 브랜드 '카이브 유보라(KAIVE UBORA)'가 처음으로 적용된 랜드마크 대단지 '고양 장항 카이브 유보라'가 전 가구 순위 내 청약을 마감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지역 일대 분양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서, 1순위 청약에서만 1만 건 이상의 청약통장이 몰린 것이다. 분양가상한제 지역에 공급되는 프리미엄 랜드마크 단지라는 점에
서울과 분양가상한제 아파트 청약 열기가 뜨겁다. 단지마다 수만 명씩 몰리면서 문전성시를 이루는 모습이다. 하지만 지방은 미분양 우려가 해소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수요자들의 선별 청약 경향이 강해지고 있는 데다 지방의 부동산 시장 회복도 한동안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에서다.
4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서울 마포구 공덕동 '마포자이힐스테이트 라첼스'
아파트 분양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올여름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신도시·공공택지 아파트 7000가구가 공급된다. 수요자들의 가격 민감도가 높은 상황이라 분상제 아파트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3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 7~8월 전국에 공급되는 신도시·공공택지 분양 물량은 6949가구다. 해당 기간 전국 분양 예정물량
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펜타스'(신반포15차 아파트 재건축) 분양가가 3.3㎡당 6736만9050원으로 결정됐다. 3년 전 토지 감정평가 결과가 그대로 적용돼 조합이 제시한 7500만 원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역대 분양가상한제 적용지역 가운데 최고가를 경신했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날 서초구청은 분양가심사위원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원펜타스
일산 한류월드 아파트 가격이 강세를 나타내는 상황에서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고양 장항지구 분양 단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만큼 주변 아파트 시세에 비해 합리적인 수준으로 분양가가 매겨지기 때문이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일산 한류월드 킨텍스 일대 아파트 가격은 부동산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국토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