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외주식 거래플랫폼 38커뮤니케이션에 따르면 28일 비상장 주식 시장은 대체로 보합 마감했다.
새벽배송 전문기업 오아시스(4.17%), 모바일 금융 플랫폼 토스앱 운영업체 비바리퍼블리카(0.92%), 온라인 패션 플랫폼 무신사(0.33%), IPO(기업공개) 상장 예비심사 청구종목이자 사물인터넷 플랫폼 전문기업 메를로랩(1.49%)은 상승 마감했다.
26일 비상장 주식시장은 보합이었다.
38커뮤니케이션에 따르면 프리미엄 비건 뷰티 브랜드 달바(d'Alba)로 알려진 기업 달바글로벌은 금융감독원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피 상장을 위한 본격 절차에 돌입했다.
총 공모 주식 수는 65만4000주이며 희망 공모가 밴드는 5만4500~6만6300원이다.
모바일 금융 플랫폼 토스앱 운영업체 비바리퍼블
CJ온스타일은 다양한 상생 활동으로 협력사와의 윈-윈(Win-Win) 관계를 구축하며 동반성장에 앞장서고 있다. 중소형 유망 브랜드를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성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직간접 투자는 물론 육성에도 나서고 있다.
특히 국내 헬스·뷰티 유망 브랜드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프로그램 ‘CJ온큐베이팅’을 운영해 중소기업 지원에 나서고 있다. CJ온큐베
수면 전문 브랜드 시몬스가 역대 최대 매출을 경신하며 침대 업계 1위를 지켰다.
시몬스 침대는 지난해 매출 3295억 원으로 전년 대비 5% 증가한 실적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527억 원으로 전년 대비 65% 신장했다.
회사는 △프리미엄 매트리스 △하이엔드 비건 매트리스 N32 등 멀티 브랜드 전략의 성공적인 안착을 매출 상승 요인
롯데백화점이 서울 동북 상권 1위 백화점 자리를 수성하기 위해 노원점 리뉴얼(재단장)을 본격화한다. 전체 영업면적의 80%에 해당하는 공간을 바꾸는 역대 최대 규모 재단장이다.
롯데백화점은 핵심 상품군 강화, MZ 타깃 브랜드 확대, 쇼핑 환경의 혁신 등을 테마로 한 노원점 개점 최초의 전관 리뉴얼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노원점은 2002년 미도파
신세계 하이퍼그라운드가 25일부터 5일간 전 세계 패션·유통 기업이 한 자리에 모이는 ‘상해 패션위크’에 참여한다.
신세계 하이퍼그라운드는 신세계백화점의 K패션 해외 진출 지원 플랫폼으로 국내 브랜드들과 함께 공식 패션 수주전시회인 ‘모드 상하이(MODE Shanghai)’에 쇼룸을 연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상해 쇼룸에서는 독특한 디자인으로 두
‘홍두당(근대골목단팥빵)’ 단팥빵이 기존 수입 밀에서 100% 국산 밀로 대체하는 등 식품기업이 전략작물(밀·콩·가루쌀) 활용을 늘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5년 ‘전략작물 제품개발 지원사업’에 참여할 식품기업 60개소(밀 19, 콩 21, 가루쌀 26개소)를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쌀 수급 불균형 완화와 식량자급률 제고를 위해 밀·콩
내수 침체 속에서도 돋보이는 신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농심은 소비자 관심도가 높은 칼국수비빔면을, 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은 아웃도어 활동에 적합한 의류를 내놨다. 삼립은 프로야구 협업 빵을, 마몽드는 '화잘먹(화장이 잘 먹는)' 선케어 제품을 출시했다.
농심, '배홍동칼빔면'
농심은 칼국수비빔면 ‘배홍동칼빔면’을 선보인다.
배홍동칼빔면은 튀기지 않고
지금 화제 되는 패션·뷰티 트렌드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취향, 가치관과 유사하거나 인기 있는 인물 혹은 콘텐츠를 따라 제품을 사는 '디토(Ditto) 소비'가 자리 잡은 오늘, 잘파세대(Z세대와 알파세대의 합성어)의 눈길이 쏠린 곳은 어디일까요?
무엇보다 '소통'이 중요한 시대입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온라인 플랫폼이 일상이 되면서 기업의
국내 대표 식자재유통기업 삼성웰스토리가 작년 한 해 쓴 식자재 구입비는 총 2조 원. 이 중 두부만 따지면 160억 원으로, 큰 비중은 아니다. 그런데도 삼성웰스토리는 지난해 11월에 펴낸 ‘만두원정대’에 이어 두 번째 푸드디깅 북(Food Digging book) 주제로 두부를 선택했다. 2월 출간한 ‘두부원정대’ 공동저자 5인 중 한 명인 강성기 삼
배우 김수현 측이 고(故) 김새론과 6년간 교제했다는 의혹을 반박한 가운데, 김수현을 광고 모델로 내세운 기업들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12일 김수현을 모델로 기용하고 있는 샤브샤브 전문점 샤브올데이는 공식 인스타그램에서 김수현의 사진을 모두 비공개 처리했다.
또 김수현이 모델로 활동 중인 비건 뷰티 브랜드 딘토는 모델 관련 일정을 보류한 것으
글로벌 K푸드 전문 기업코스트코 등 글로벌 유통망 확보DB금융스팩11호와 5월 합병 상장 예정
한국 식음료 산업을 세계에 알리는 글로벌 스탠다드 기업이 되겠다
DB금융스팩11호와 합병을 통해 코스닥 상장을 추진 중인 김성구 바이오포트코리아 대표는 12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업공개(IPO) 간담회를 열고 이렇게 말했다.
바이오포트코리아는 세계 각국에
LG생활건강이 세계 최고 권위의 디자인 공모전인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최초로 5개 작품 본상 수상을 했다고 12일 밝혔다.
LG생활건강은 뷰티 부문(더후 브랜드북, 더테라피 비건, 오휘 얼티밋 핏 진쿠션X호텔827)과 생활용품 부문(프라몬, 유시몰 클래식 치실)에서 수상했다.
특히 ‘프라몬’ 디자인은 AI 기반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
LF의 비건 뷰티 브랜드 아떼는 일본 대표 버라이어티샵 로프트(LOFT)에 입점했다고 7일 밝혔다.
아떼는 1일 ‘로프트 코스메 페스티벌 2025 SS’에 참가해 브랜드 대표 제품인 어센틱 립밤 3종, 립 글로이 밤 3종을 선보였다.
현재 도쿄 시부야·신주쿠, 오사카 우메다 등 일본 주요 도심의 매출 상위 30개 로프트 매장에서 판매 중이다. 추후
롯데슈퍼 그랑그로서리 도곡점이 프리미엄 계란과 친환경 양곡 진열대를 확대 운영한다고 4일 밝혔다.
롯데슈퍼에 따르면 그랑그로서리 도곡점 계란 매대에 ‘1+등급란’, ‘동물복지란’과 같은 프리미엄 계란 진열대를 구성해 선보이고 있다. 이는 도곡점 리뉴얼 이후 프리미엄 계란 매출 비중이 전체의 85%에 달했기 떄문이다. 이는 전 매장 평균치와 비교해도
LF는 비건 뷰티 브랜드 ‘아떼(athe)’가 베트남 시장에 진출한다고 27일 밝혔다.
아떼는 지난해 11월 베트남 유통업체 씨스토어와 총판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현지 온·오프라인 판매를 준비 중이다. 3월에는 베트남 최대 온라인 이커머스 플랫폼인 ‘쇼피(Shopee)’와 ‘틱톡숍(TikTok Shop)’에 입점할 예정이며, 올해 오프라인 매장 입점을
'만원대 작업복' 입소문 타...기본 이상 품질로 만족도 높아소용량ㆍ저렴한 가격 ‘다이소 화장품’ 인기...1만원으로 충분
고물가에 1만 원 한 장으로 밥 한 끼는 해결할 수 있다 쳐도, 패션 화장품 쇼핑까지 가능할까 싶은 요즘이다. 이커머스에선 1만원 이하 특가 상품을 종종 건질 수 있지만, 오프라인 매장에선 제대로 된 옷 한 벌 사기 어렵다. 가성비
괌 미군기지에 K푸드의 대표 격인 비비고 만두와 떡볶이, 컵밥 등이 상륙했다.
CJ제일제당은 괌 미군기지에 있는 대형 식료품점에서 식물성 만두, 떡볶이, 햇반, 컵밥 등 K푸드 제품군 판매를 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군부대 특성상 취사 시설이 없는 곳이 많고 미혼 병사가 많아, 전자레인지 조리로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제품 수요가 높아 입점이 결정됐
식품·주류업계가 미래 먹거리로 뷰티를 낙점하고 사업 다각화에 나서고 있다.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K뷰티 바람이 불자 기존 뷰티업체뿐만 아니라 패션, 식품, 주류업체들까지 뷰티 시장에 진출해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15일 식품·주류업계에 따르면 하이트진로그룹 계열사 서영이앤티는 지난해 10월 국내 화장품 제조·개발·생산(ODM) 업체 비앤비코리아를 인수
LG생건ㆍ애경, CNPㆍ에이솔루션 전용 제품 선봬저렴한 가격에 10대 고객 선호 뚜렷…“선택 아닌 필수”
고물가와 경기불황이 장기화하면서 가성비 제품 선호 현상이 심화하자, 뷰티·생활용품 대기업 제조사들이 앞다퉈 다이소 입점을 확대하고 있다. 문제는 다이소가 5000원 이하 균일가 정책을 고수하기에 ‘전용 제품’ 별도제조라는 수고가 뒤따른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