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인 내일(18일)도 추운 날씨가 이어지겠다. 전국 대부분 지역은 대체로 맑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영하 10도에서 영하 1도, 낮 최고기온은 0도에서 6도로 예보됐다. 바람도 강하게 불어 체감온도는 더 낮아 춥겠다.
제주도는 새벽부터 아침 사이 0.1㎝ 미만의 눈이 날리겠다. 일부 지역은 0.1㎜ 미만의 빗방울이 떨어지는 곳도 있겠다.
미세먼지
일요일인 16일은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 대체로 포근하겠다. 다만 짙은 미세먼지로 전국 대부분 지역의 하늘이 뿌옇겠다.
15일 기상청 등에 따르면 16일 아침 최저기온은 -4∼4도, 낮 최고기온은 6∼14도로 예년보다 높겠다.
수도권과 강원 영서, 충청권, 광주, 전북, 대구·경북의 미세먼지 농도는 '나쁨', 그 밖의 권역은 '보통' 수준으로 예보됐다.
토요일인 15일은 전국이 대체로 흐리지만 낮 최고기온이 12도까지 오르는 등 포근하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아침 최저기온은 영하 7도에서 영상 3도, 낮 최고기온은 영상 7~12도로 예보됐다. 평년보다 3도 안팎으로 높아 온화한 날씨를 보이겠다.
오전부터 제주도에, 오후부터 저녁 사이에는 전남남부와 경남서부남해안에 비(제주도 산지 비 또는 눈)가
긴 설 연휴가 끝난 31일 전국이 흐리고 중부지방에는 눈이 내릴 전망이다. 오전까지는 춥겠으나 서서히 기온이 올라 낮 최고기온은 1~10도로 예보됐다. 흐린 날씨가 주말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이나 한파 수준의 겨울 추위는 사실상 끝났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아침 기온은 서울과 대전 -4도, 춘천 -9도, 광주 –2도로 출발했다. 낮
미세먼지 비상저감 조치 지역 확대
수요일인 내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미세먼지 농도가 높게 나타나겠다.
21일 기상청에 따르면 내일 미세먼지가 수도권과 강원 영서,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에서 ‘나쁨’, 그 밖의 권역에서 ‘보통’ 수준을 보이겠다. 서울과 경기 남부, 세종 지역은 새벽에 잠시 ‘매우 나쁨’ 수준이 되겠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 비상저
오늘(20일)은 24절기 중 하나인 대한이다.
대한은 음력 12월 섣달에 드는 겨울의 마지막 절기이자 24절기 중 24번째 마지막 절기다.
대한(大寒) 큰 대에 찰 한을 쓰며 말 그대로 '큰 추위'라는 뜻의 절기다. 원래 겨울철 추위는 입동(立冬)에서 소설(小雪), 대설(大雪), 동지(冬至), 소한(小寒)으로 갈수록 추워진다. 대한이 일 년 중에
절기상 큰 추위가 온다는 대한인 오늘(20일·월요일) 전국 곳곳에 약한 비나 눈이 내리면서 '블랙아이스'를 주의해야 한다.
기상청에 따르면 전날(18일) 밤부터 이날 새벽 사이에 경기북부에 빗방울 또는 눈이 내리겠다. 예상 적설량은 서울·인천·경기도, 강원 영서, 충북 중·북부, 경북 북동 내륙·산지 1㎝ 미만, 강원 영서, 대전·세종·충남, 경북
화요일인 14일은 전국이 대체로 흐린 가운데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비 또는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다. 빙판길과 도로 살얼음에 유의해야겠다.
수도권과 강원 내륙·산지, 충청권 내륙, 전북 동부, 경북 북부 내륙·북동 산지에 비 또는 눈이 내리다가 아침에 대부분 그치겠다. 강원 내륙·산지는 오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경북 남서 내륙과 경남 북서 내
일요일인 5일은 전국 곳곳에 눈 또는 비가 내리겠다.
늦은 새벽부터 서울·인천·경기 북부에서 내리기 시작해 오전부터 경기 남부와 강원 내륙·산지, 충청권, 전라권, 제주도로 확대되겠다.
오후부터는 경북 북부 내륙·북동 산지와 경북 남서 내륙, 경남 서부 내륙, 경남 남해안에 가끔 눈 또는 비가 오는 곳이 있겠고 밤에는 대부분 그치겠다.
그 밖의 경남
금요일인 3일은 아침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고, 바람도 강하게 불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12∼0도, 낮 최고기온은 1∼7도로 예보됐다.
특히 한파특보가 발효된 경기북부 내륙과 강원 내륙 및 산지를 중심으로 4일까지 아침 기온이 -10도 이하로 떨어지는 곳이 있겠다.
전국이 대체로 맑겠으나 충남권과 전라권은 구름이 많겠다. 제주도는 대체로 흐리겠
월요일인 30일은 전국이 대체로 흐리겠다.
경기 동부와 강원 내륙·산지, 충북 북부, 경북 북부 내륙, 경북 북동 산지는 새벽부터 가끔 비 또는 눈이 내리다가 소강상태를 보이는 곳이 많겠다. 경기 동부는 늦은 밤에 대부분 그치겠다.
서울·인천·경기 서부도 새벽부터 아침 사이 0.1㎜ 미만의 빗방울이 떨어지거나 0.1㎝ 미만의 눈이 날리는 곳이 있겠다
목요일인 26일 새벽 전국 대부분 지역에 비나 눈이 조금 오겠다.
이날 아침 최저기온은 –7~6도, 낮 최고기온은 –1~10도가 되겠다. 아침까지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지만 낮부터 북쪽에서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별 아침 최저기온은 △서울 –2도 △인천 –2도 △수원 –3도 △춘천 –4도
수요일이자 크리스마스인 25일은 전국 대부분 지역이 구름이 껴 흐린 가운데, 아침 기온이 -10도 안팎으로 떨어지는 등 매우 춥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서해상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는 고기압의 영향으로 이날 전국에 구름이 많다가 낮부터 차차 흐려지겠다.
이날 밤(18~24시)에 강원남부내륙·산지와 제주도산지에 비 또는 눈이 시작될 수 있겠다.
수도권과
성탄절인 25일 낮부터는 차차 기온이 올라 평년기온을 회복하겠다.
24일 기상청에 따르면 내일 아침 기온은 서울과 대전, 대구 영하 2도, 춘천 영하 9도로 오늘 아침보다 2도가량 높겠으나, 대부분 지역이 영하권에 들어간다.
낮 기온은 서울 6도, 춘천 4도, 대전과 대구 7도가 되겠고 낮부터는 기온이 차차 오르면서 평년 기온을 회복하겠다.
현재,
영국의 과학 전문 저널 ‘뉴사이언티스트’와 옥스퍼드대 출판부 등이 올 한 해를 관통한 과학 이슈를 담은 ‘올해의 단어’를 최근 공개했다. 올 여름 전 세계를 강타한 지속적인 고온과 폭염의 이유로 꼽히는 히트돔(heat dome·열돔)을 비롯해 줄기 세포(stem cell)과 배아(embryo)의 합성어인 스템브리오 등이 들어있다. 그리고 파동(wave)과
월요일인 23일은 전국이 대체로 맑겠으나 충청권과 전라권, 제주도는 구름이 많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중국 산둥반도 부근에 위치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이날 전국이 대체로 맑으나 오전(09~12시)부터 늦은 오후(15~18시) 사이 충남서해안에는 0.1㎜ 미만의 빗방울이 떨어지거나 0.1㎝ 미만의 눈이 날리는 곳이 있겠다.
당분간 중부내륙과 강원산지, 경
월요일인 23일은 중부내륙을 중심으로 아침 기온이 -10도 안팎으로 낮아 매우 춥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23일 아침 최저기온은 -15도에서 1도, 낮 최고기온은 3도에서 10도로 평년보다 조금 낮거나 비슷하겠다. 바람이 강하게 불어 체감온도는 더욱 낮겠다.
전국이 대체로 맑겠으나 충청권과 전라권, 제주도에는 구름이 많겠다.
오전부터 늦은 오후 사이
17일 화요일에는 수도권과 강원도는 대체로 맑겠다. 충북과 경상권은 가끔 구름이 많고 전국 곳곳에 비 또는 눈이 내릴 수 있다.
16일 기상청에 따르면 17일 아침 최저기온은 -9∼4도, 낮 최고기온은 1∼10도에 머무를 것으로 보인다.
전일부터 이어진 예상 강수량은 △경기 남부, 강원 남부 내륙 및 산지, 제주도 5㎜ 내외 △전남 서해안·전북, 울릉
월요일인 오늘(16일)은 아침 최저 기온이 전국 대부분 지역이 영하에 머무르겠다. 수도권·제주·전라권 등 일부 지역에 비나 눈이 내리겠다.
이날 기상청에 따르면 제주와 충남, 전라권 해안 등 일부 지역에 비나 눈이 오겠다. 새벽부터 아침 사이 충남 서해안과 전라 서해안에 비나 눈이, 충남 내륙과 그 밖의 전라권에는 0.1㎜ 미만의 빗방울이 떨어지거나
수도권‧강원 가끔 구름 많아
연합뉴스에 따르면 일요일인 15일은 전국이 대체로 흐리고 수도권과 강원도에는 가끔 구름이 많이 낄 것으로 예상된다.
충청권과 전라권, 제주도에는 비 또는 눈이 오나, 충청권에서는 낮에 대부분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경남 서부 내륙, 수도권, 강원 영서에도 빗방울이 떨어지거나 눈발이 날릴 수 있다.
아침 최저기온은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