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연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각각 5.7%, 103.8% ↑올해 핵심 과제로 포트폴리오 경쟁력 강화·글로벌 사업 제시
“변화하는 세상에 맞춰 민첩하게 스스로를 혁신하며 고객이 뷰티 산업에 기대하는 도전과 혁신을 과감히 추진하겠습니다”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대표이사는 25일 오전 서울 용산구 본사 제19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인사말을 통해 “매력
NH투자증권은 25일 국내 소비재 투자에 있어 국내보다 해외 시장에서 무한한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유의미한 성과를 내는 기업으로 삼양식품, 농심, 롯데웰푸드, 아모레퍼시픽, 에이피알, 풀무원, 빙그레, 지누스 등을 제시했다.
과거 글로벌 시장에서 대다수 국가에서 1위~2위 수입국은 프랑스 혹은 미국이었다. 그런데 2024년 미국과 태국은 한국산 비중이
설화수는 배우 임윤아를 새로운 글로벌 앰배서더로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임윤아는 설화수 브랜드의 가치와 이야기를 전하는 역할을 맡는다.
설화수는 브랜드가 추구하는 ‘홀리스틱 뷰티’의 세계관을 구현할 적임자가 임윤아라고 판단했다. 임윤아는 3월부터 두 달 동안 진행되는 설화수 윤조에센스 글로벌 캠페인을 통해 브랜드 앰배서더로서 첫선을 보일 예정이다.
봄이 다가오면서 다양한 신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설화수는 환절기에 바르기 좋은 프리미엄 크림을, 안다르는 직장과 레저 활동에서 입기 좋은 옷을 선보였다. 이디야커피는 봄 시즌 한정 음료를, 빙그레는 고칼슘 강화우유를 출시했다.
설화수 '진설크림 리치'
설화수는 진설 리버스 에이징(Reverse Aging) 기술이 집약된 ‘진설크림 리치’를 출시한다.
아모레퍼시픽은 글로벌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CDP) 평가에서 기후변화 대응·수자원 관리 등 2개 부문 모두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CDP는 전 세계 금융투자기관이 주도해 기업에 환경 관련 경영정보 공개를 요청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Initiative)다. CDP는 기후와 물 관련
아모레퍼시픽과 hy가 대표 브랜드에서 신제품을 내놨다. 아모레퍼시픽의 럭셔리 브랜드 설화수는 스테디셀러를 업그레이드했다. hy는 '헬리코박터 프로젝트 윌' 출시 이후 쌓아온 위 건강 연구 기술력을 집약한 제품을 선보였다. 빙그레는 젊은 소비자를 공략하는 초콜릿 드링크를, 신세계면세점은 프리미엄 와인을 한정 출시했다.
설화수, 에센셜 라인 리뉴얼
설화수는
뷰티컬리에 에르메스 퍼퓸 입점…키엘 한정판 단독 판매쿠팡은 ‘알럭스’ 론칭…랑콤 등 해외 브랜드 30개 유통'오프라인' 다이소ㆍ올리브영 가성비 제품 인기 여전편의점도 오프라인 경쟁 가세…소용량 제품 다양화
유통업체들이 온·오프라인에 따라 뷰티제품에 대한 전략을 극과 극으로 전개하고 있다. 오프라인에서는 다이소·CJ올리브영 등을 중심으로 가성비 제품이 여전
아모레퍼시픽이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 CDP) 평가에서 3년 연속 기후변화 대응 부문 A등급을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올해는 기후변화 대응(Climate Change) 부문을 비롯해 처음으로 수자원 관리(Water Security) 부문에서 모두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아모레퍼시픽은 사업장에서
성균관대 연구팀과 자연 숙성 인삼 소재 림파낙스 연구노화 연관된 단백질 활성 저해…피부 림프 건강·피부 노화 극복 기대
아모레퍼시픽은 자연 숙성 인삼 소재인 ‘림파낙스(LymphanaxTM)’의 피부 항염 효능을 입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기존에 밝혀진 노화 관련 연구에 따르면, 염증 반응을 줄이면 노화 과정을 늦춰 신체 건강을
새해를 맞아 푸른 뱀을 테마로 한 신상품 출시가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설화수 '푸른 뱀의 해 리미티드 에디션', 프레시안 '럭키 블루 에디션' 등 한정판 화장품이 있다. 식품업계에선 제철을 맞은 딸기를 활용한 신메뉴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푸른 뱀의 해 리미티드 에디션'
9일 아모레퍼시픽에 따르면 스킨케어 브랜드 설화수가
대신증권은 30일 어모레퍼시픽에 대해 COSRX의 성장이 둔화되면서 폭발적인 성장 모멘텀이 부재하다며 목표주가를 14만 원으로 기존 대비 17.6% 하향조정했다.
정한솔 대신증권 연구원은 "국내는 MBS(H&B)·이커머스 채널 성장과 면세 매출 역성장폭 점진적 축소가 에상되고 해외는 내년 1분기 북미 신규 2개 브랜드 출시가 예정돼있고 라네즈·이니스프
아모레퍼시픽 주요 브랜드가 미국 이커머스업체 아마존의 행사인 ‘블랙프라이데이&사이버먼데이(BFCM)’에서 높은 성과를 거두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16일 아모레퍼시픽에 따르르면 미주 지역에서 선전하고 있는 라네즈, 설화수, 이니스프리가 실적을 견인하며 성장세를 이끌었다. BFCM 기간 동안 라네즈의 매출은 전년 대비 127%의 매출 신장률을 기록
‘데칼코마니’ 연상…동·서편으로 이어진 면세점서편엔 신세계존 완성…패션·뷰티 ‘원스톱 쇼핑’동편엔 신라면세점 둥지…신세계 와인존도 눈길
면세업 부진이 계속 되는 가운데 신라면세점과 신세계면세점이 지난달 말 인천국제공항(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T2) 출국장 면세점을 정식 오픈, 불황에 온기를 불어넣고 있다. 양사는 특화존 등 새로운 공간을 만드는 한편
글로벌 시장 성장을 강조해온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대표가 선진 시장인 미국, 일본, 유럽을 비롯해 신성장 시장 인도, 중동을 주요 전략 시장으로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연평균 10%의 매출 성장률과 2027년 기준 12%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김 대표는 12일 서울 용산 아모레퍼시픽 본사에서 열린 '2024 인베스터 데이(20
새벽배송 전문 컬리가 사상 처음으로 연 뷰티(화장품) 브랜드 오프라인 행사에 나흘간 2만여 명이 몰려들었다.
컬리는 10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중구 을지로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개최한 첫 오프라인 뷰티 축제 ‘컬리뷰티페스타 2024’가 성황리에 종료됐다고 14일 밝혔다.
랑콤, 설화수, 몰튼브라운, 키엘, 러쉬, VT, 뮤스템 등 90여 개
신한투자증권은 아모레퍼시픽에 대해 중국 영업 적자 규모가 크지만, 주가가 바닥을 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19만2000원에서 16만3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12만5200원이다.
10일 박현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과 동남아시아 등 해외 매출과 이익 증가에도 불구하고, 중국 구
하나증권은 4일 아모레퍼시픽에 대해 코스알엑스(COSRX) 성과가 기대를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19만 원에서 18만 원으로 하향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아모레퍼시픽의 올해 3분기 실적으로 연결 기준 매출은 전년 대비 8% 증가한 9600억 원, 영업이익은 133% 늘어난 401억 원을 전망한다
엔데믹에 중국 경제 악화에 따이궁까지 발길 뚝↓롯데免 비상경영·호텔신라 자금조달, 자구책 분주
국내 시내면세점이 엔데믹에도 긴 실적 침체에 빠진 것은 유커(중국인 단체관광객), 따이궁(보따리상)의 이탈이 좀처럼 회복되지 않은 탓이 크다. 여기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高) 영향에 따른 소비 심리 침체도 주원인으로 지목된다.
29일 면세점업계에
아모레퍼시픽의 럭셔리 스킨케어 브랜드 설화수는 새로운 자음생크림 출시를 기념하는 행사를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전날 ‘자음생, 멈추지 않는 여정’이라는 테마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전통과 현대의 아름다움이 공존하는 북촌 설화수의 집에서 개최했다. 특히 설화수의 60년 인삼 연구가 집약된 자음생크림의 헤리티지와 자생력에 몰입할 수 있는 공간 연출로 눈
면세점 4사, 재고 2.3조...팬데믹 수준1인당 면세점 구매액, 1년 새 22% 감소엔데믹에도 면세업계 불황 여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재고 처리를 위해 한시 운영한 재고 면세품 내수판매 채널이 국내 면세점업계에서 사라진다. 다만 국내 면세점 4사의 재고 자산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 각 사는 핵심 사업장의 경쟁력 강화 등 본업 회복을 위한 자구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