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반도체 특별법과 추경, 동시 타결”野 “연계할 사안 아냐”
반도체 특별법 처리와 추가경정예산안(추경) 편성 등을 논의하기 위한 여야정 국정협의회가 공회전을 거듭하고 있다.
12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반도체 특별법 처리와 추경 편성, 연금개혁 등을 연계해 동시에 협상을 타결하는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민주당에선 개별 사안들을 굳이 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타격을 입은 경제성장률을 완화하기 위해서 15조~20조 원 수준의 추가경정예산(추경)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이 총재는 16일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 이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성장률이 예상하는 것보다 한 0.2% 정도 떨어졌다면 그 정도를 보완하는 규모로 추경을 하는 게 좋지 않냐”며 “성장률을
이종구 바른정당 정책위의장이 8일 "경기가 어려운데 구정을 앞두고 백화점 선물 제품을 국내산보다 수입산이 점령한 것은 김영란법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제1차 여야정협의회에 참석해 "불황 국면에 처했고 종전 방식대로는 안되며 어려움을 돌파할 수 있는 큰 틀의 경제개혁을 보여줘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의장은 이어 "
민주당은 31일 한나라당이 한미FTA비준동의안을 단독상정할 경우 끝까지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김진표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한나라당이 오늘 단독 상정을 시도한다면 이는 지금까지 한미FTA 여야정 협의체를 통한 이익균형 협의를 포기하겠다는 말로 듣고 끝까지 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학규 대표는 “여야가 8월 임시국회에서는 합의